고조선화폐(명도전)(203)
-
연하도 점령기
1. 중산국이 연하도 이현 점령기에 연나라가 망했다는 소리입니다. 仇由(구유)입니다. 연의 집권 세력은 배 타고 제나라로 도망갔다는 말입니다. 이로서 고조선 초기 강역을 중산국이 다시 찾은 것입니다. 그리고 중산국과 고유국을 아울러 '기자국'이라 부를 수 있고, 고조선 단군 입장에서는 단제이시니 작은 나라 임금 '기자국'의 '기자'는 하대해서 '수유/서여' 군대라 하실 수 있는 것입니다. 산서의 고유국은 '고구려/고려' 라는 말일 것입니다. 2. 기존 중원 세력 강성기 자료와 비교해 보겠습니다. 너무 차이가 나지요? 연이 영토는 전국 말기라도 저 강역까지 오지 않았을 것입니다만, 임시로 비교하기 위해 늘린 자료를 선택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도 윤내현 교수님이나 일부 학자들 견해를 들자면, 다시 격퇴시켰다 ..
2022.02.15 -
북경도 해안가, 이현은?
북경도 해안가, 이현은? https://www.youtube.com/watch?v=QFsQoY32n5g 동영상 범위를 정밀하게 넣어보면, 이현/역현은 바닷속입니다. 해안가입니다. 용성도 바다 속이거나 해안가입니다. BC 1000~BC 350 년 사이입니다.
2022.02.14 -
BC1920 년 황하 홍수
BC1920 년 황하 홍수 https://namu.wiki/w/%ED%99%A9%ED%95%98 원래는 하북까지 고조선 사람들이 내려와 살았는데, 어느날 BC 1920 년 황하 홍수가 나버렸습니다. 기록 상으로는 위 BC 1920 년 보다 올라갑니다. 그러니 홍수 영역에 있던 사람들은 다시 산동이나 당시 황하 북쪽과 서남쪽으로 이주하게 되는 것입니다. 역사 고찰에 전제 2가지가 되어야 합니다. 1. 중원 동부 발해 해안선 2. 황하의 지류 변동과 홍수
2022.02.14 -
명사전, 일월전 의미 추가
명사전, 일월전 의미 추가 https://blog.daum.net/daesabu/18328350 일화전, 명사전 고찰 일화전, 명월전, 명사전 고찰 이미 오래 전에 제 저서 고조선문자(경진출판사)에서 명사전 과 일화전이 고조선의 것이 주장을 했습니다. https://blog.daum.net/daesabu/18285858 그리고 일화(一化)의 化도 blog.daum.net 중국에서 연 화폐라 주장하는 '명사전' '일화전'은 제가 '명사전' '일월전'이고 고조선 동전이라 했습니다. 여기서 네개의 사선은 해달빛 이라 해도 되고 바로 북두칠성 주변 8개의 별을 이은 것입니다. 밤하늘의 가장 빛나는 별의 밝기를 표시한 것으로 제일 밝은 별들을 말하는 것입니다. 지금으로 치자면 1등급 별을 말하는 것입니다. 일월전..
2022.02.14 -
明: 춘추 만기
明: 춘추 만기 燕刀 "明" 字新解 선진화폐연구, 267쪽에 보면 역시 첫번째 明의 주조 시기를 '춘추만기'라 봅니다. 물론 燕도가 아니라 조선도(朝鮮刀)입니다. '고조선 북두칠성 형상 돈'인 것입니다. 또 제가 해석한 것 처럼 明이 흐 문양 되는 과정을 문양의 변천이라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명도전 주물 석가장, 이현/역현, 북경, 승덕 발굴 거푸집은 이 지역이 고조선 강역이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지 연의 강역이었다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연하도 이현은 고조선 중원 중산국이 점령했던 시기가 있었다는 것을 모른 상태에서 연의 강역이라 착각한 것입니다.
2022.02.14 -
번한세가 상
번한세가 상 정신세계사, 임승국님, 214쪽 치우천왕은 서쪽으로 탁예를 정벌하고 남쪽으로 회대를 평정하셨다......(중략) 임승국님 주)탁예: 현재의 산서성 대동부 근처일 것이다. 역시 환웅시대 산서성까지 진출한 내용을 기록한 우리 사서인데, 산서성의 백적에 대한 내용과 일치합니다.
2022.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