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문자 계통도(111)
-
고조선 문자 계통도-43
고조선 문자 계통도-43 1. 2. 선진화폐연구, 263쪽 3. 4. 5. 표범 6. 훈민정음에서 표현 된 문자로서 조선시대에 표범이 없어진 상황에서 고조선의 '표범' 문자를 보고 이를 남기고자 한 한자음이라 봅니다. 참고 자료: 고천원지 위에 점이 있는 듯 합니다.
2011.12.17 -
고조선 문자 계통도-42
고조선 문자 계통도-42 1. 선진화폐문자편, 271쪽, 중국학자들은 해석 못 합니다. 나무의 종류라고도 볼 수 있으나, 호랑이 머리 부분을 표현한 ‘범’ ‘호랑이’라고 봅니다. 2. 선진화폐연구, 263쪽, 중국학자들은 王刀 라고 해석합니다. 3. ‘civil' 님 자료 4. 훈민정음 해례본 용자..
2011.12.17 -
고조선 문자 계통도-41
고조선 문자 계통도-41 1. 2. 선진화폐문자편, 274쪽, 중국학자들은 해석 못 합니다. 3. ‘civil' 님 자료 4. 용비어천가-daum국어사전 5. 쥐 6.
2011.12.17 -
고조선 문자 계통도-40
고조선 문자 계통도-40 1. 2. 선진화폐문자편, 274쪽, 중국학자들은 해석 못 합니다. 3. ‘civil' 님 자료 4. 짗: 석보상절, 능엄경언해, 분류두공부시경언해, 번역박통사, 언해두창집요-daum국어사전 5. 깃 6.
2011.12.17 -
고조선 문자 계통도-39
고조선 문자 계통도-39 1. 2. 원 안의 부분이 작은 새로서, 매 발톱 부분을 표현하고, 매 사냥이라 볼 수도 있습니다. 선진화폐문자편, 232쪽, 중국학자들은 午라 주장합니다. 3. 4. 5. 매 발톱 6.
2011.12.16 -
고조선 문자 계통도-38
고조선 문자 계통도-38 1. 2. 선진화폐문자편, 274쪽, 중국학자들은 해석 못 합니다. 3. 선진화폐문자편, 286쪽, 중국학자들은 연명도(燕明刀) 문자라고하나 해석 못합니다. 4. 5. 매 부리 6.
2011.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