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화폐문과 신석기토기무늬 (167)
-
제풍에서 馮과 風에 대한 고찰
1. 규원사화, 88쪽, 한뿌리, 북애 지음/고동영 옮김 맹자에 순(舜)은 제풍(諸馮)에서 났으며 동이라 했고..... 여기서 풍(馮)은 風과 한자가 다릅니다. 하지만 馮이 성씨 풍(馮)이라는 것을 알면 원래 風과 같은 의미일 것으로 봅니다. 원래는 얼음이 녹아 물이 들어오기전 말 마(馬)를 타고 초..
2016.05.02 -
새로운 관점
1. 새로운 역사 관점을 적어 봅니다. 동해를 생활터전으로 구석기-신석기-청동기 계속 겨레 동쪽에 살아온 '한족' 이 있었습니다. 역사에는 '한, 동예. 옥저'로 나옵니다. 2. 황해 초원에 있다가 얼음이 녹는 시절, 호남과 제주도로 이주한 환웅족이 있었는데 주로 황해 남쪽이었다고 봅니다..
2016.05.02 -
태극의 유래
1. 현 태극의 유래는 이렇습니다. 설명 안해도 되겠지요. 2. ㄱ,ㄴ,ㅅ,ㅁ,ㅇ,ㄹ 기본 한글이 다 나옵니다. 영어 철자로는 S, V, N 이 다 나오지요. 3. 귀걸이 곡옥도 이 문양을 그대로 따라한 것입니다.
2016.05.02 -
우리 겨레는 태극풍족
1. 광주 박물관의 바람개비 문양입니다. 이는 하늘 바람개비로서 풍족(風族) 표식입니다. http://blog.daum.net/daesabu/18298716 http://blog.daum.net/daesabu/18298725 2. 세종의 한글도 풍족 표시에서 나왔습니다. ㄱ,ㄴ,ㅅ,ㅁ,ㅇ ,ㄹ ㄹ을 부드럽게 한 부호가 S 입니다. 3. 인더스 문명에도 卍이 있는데 나는 풍..
2016.05.02 -
관제를 통한 하늘 가림 문자 증명
그 모양은 ㄱ 과 같으니 세상에서는 신지선인이 전한 것이라고 말한다. 혹자는 말하기를 이를 글자를 만든 것의 시작이라고 한다. 곧 그 획은 직일(直一)과 곡이(曲二)라 하는 모양이다. 그 뜻은 관제(管制)의 모양도 있다. 한단고기, 정신세계사, 임승국 번역 주해, 242쪽 문자의 뜻이 '관제..
2016.04.21 -
함안 토기 무늬의 수평 수직
함안 토기에도 수평선과 수직선을 만날 수 있습니다. 중앙에 4개의 수평선인데, 3,2,1 모두 같은 의미입니다. 아래로 수직선도 가림 부호입니다.
2016.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