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한국어=히브리어(218)
-
해/태양=하마
https://dict.naver.com/hekodict/#/entry/heko/38a33c11fc2c4081bddf32f36d0e94c8 해/태양=하마 문학어입니다. ㅎ 그대로 ㅎ 이고, 종성 ㄼ 이 ㅁ 만 남아서 '마'가 됩니다. 이제 해sun 보고 '하마'라고 하는 이유를 충분히 아실 것입니다.
2021.12.22 -
מַיִם [마임]=물
מַיִם [마임]=물 https://dict.naver.com/hekodict/#/entry/heko/2adfd9a5a0d943c5a948817fd008a242 ‘물’의 고어는 ‘믈’이고, 원래 고어는 ‘믋/믏’입니다. 종성 ㄹ 이 사라지고 ㅂ 이 ㅁ 된 것이 히브리어입니다
2021.12.22 -
רוּחַ [부아흐] =바람
רוּחַ [부아흐] https://dict.naver.com/hekodict/#/entry/heko/b2f272ac2a004595813d7e8bb55adb52 ᄇᆞᆲ/ᄇᆞᆶ 원형에서 ㄹ 탈락 후 나타난 히브리어로 ‘불아흐’에서 ‘부아흐’가 되는 것입니다.
2021.12.22 -
רֶגֶל [베겔]=발, 다리
רֶגֶל [베겔], ㄱ처럼 생긴 것은 [b/ㅂ]음가입니다. ㄱ 은 약간 ㅅ 모습입니다. ㄹ 은 새의 옆 모습처럼 생겼습니다. https://dict.naver.com/hekodict/#/entry/heko/49dae36510594200a166bdb03f81e442 중요한 것은 제가 이미 추론한 ㅳ 과 ㅲ 이 그대로 남아서 ‘베겔’로 남아 있습니다. 원래는 ‘베겗’입니다. 이제 얼마나 우리 고대 한국어와 고대 한글이 이어졌는가 다 이해 되셨지요? https://dict.naver.com/hekodict/#/entry/heko/fbb5d831e99e4b9f84035ae9bf190b65 심지어 종성 ㄼ이 ㅀ 된 후 ㄹㅌ 된 단어도 있습니다.
2021.12.22 -
מיקד [미케드] =촛점을 맞추다/모으다
מיקד [미케드] =촛점을 맞추다/모으다 https://dict.naver.com/hekodict/#/entry/heko/448f1f079ef24be3afa2d1b7604601f2 우리말 ‘모도다’ 의 ㅁㄷ 의 ㅁㄱ입니다. 히브리어는 아랍어처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습니다. ㅁ은 ㅁ 이고, ㅣ 은 ㅣ 이고, ㄱ 약간 휘운 것은 ㅋ 이고, 마지막 우리말 ㄱ은 [d/ㄷ]으로 발음나는 것입니다. 만약 ㄱ 을 [g/ㄱ] 에 배당했다면, 모두 우리말 문자 뿐만 아니라 소리까지 같게 되는 것입니다.
2021.12.22 -
סבור [사붑]=생각하다
סבור [사붑]=생각하다 https://dict.naver.com/hekodict/#/entry/heko/99cccbd2e7484ec38ae9e04b032361ae 현대 히브리어입니다. ㅅ이 그대로 남은 형태이고, 종성 ㅂ 도 제대로 남아 있습니다. 특이한 것은 소리는 다르지만, 한글로는 ‘ㄱㅣ그ㅇ’ 이고 돌려서 ‘ㅇ그ㅣㄱ’이 되는 것입니다.
2021.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