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 지도와 고조선(산융) 반격도

2022. 2. 2. 15:06고조선화폐(명도전)

춘추 지도와 고조선(산융) 반격도 

기원전 9~3세기 요서지역의 산융.pdf
2.63MB

44쪽 참조

 

춘추 지도

파란선은 당시의 황하

 

# 황하 물줄기가 비스듬히 동으로 흘러 올라간 사실을 모르니,

현재 황하를 두고서는 역사 해석이 제대로 안되는 것입니다.

 

황하 하류에 소국 시(邿)국이 있고, 그 아래 격(諽)국이 있고, 제나라 옆에는 기(紀)국이 있었습니다.

수정) 담(譚)국 입니다.

제나라 아래에는 개(介)국과 거(莒)국이 있었습니다.

 

2. 산융의 반격도

 

 

3. 산융=하가점 상층 문화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38686&cid=43065&categoryId=43065 

 

샤쟈덴상층문화

중국 동북지방의 청동기시대 후기 문화로 그 연대는 B.C. 1000~300년까지에 해당된다. 샤쟈덴상층문화(夏家店上層文化)의 유적은 내몽고자치구(內蒙古自治區) 동남부의 昭烏達盟, 哲里木盟, 遼寧

terms.naver.com

석곽묘 =하가점상층

주요한 생활유적으로 씨야지야디앤상층, 커쓰커텅치() 롱토우싸안(), 츠퍼엉() 쯔쭈싸안() 유적이 있고 무덤유적으로는 커스커텅치 롱토우싸안 3층 1호 돌덧널무덤〕, 윙니우터치() 따파오즈() 움무덤〕, 츠퍼엉() 호웅싸안호우() 돌널무덤〕, 닝처엉() 난싸안거언() 돌덧널무덤, 닝처엉 씨아오헤이쓰고우()돌덧널무덤 닝처엄 쑨지아꼬우() 돌덧널무덤, 아우한치() 죠우쟈띠() 움무덤, 기타유적으로 린씨(西) 따징() 채광유적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씨야지야디앤상층문화 [夏家店上層文化] (고고학사전, 2001. 12.)

 

한반도에서 돌덧널무덤은 청동기시대 고인돌〔〕의 하부구조에서 비롯되며 크고 작은 고분의 주요 묘제 중의 하나로 성행하였던 삼국시대를 거쳐 조선시대 초기까지 나타난다. 지표기준의 공간 위치는 선사시대의 그것처럼 지하식부터 지상식까지 다양하다. 사용한 석재는 할석()과 판상으로 깨어내 대충 다듬은 판석()이 있는데 할석이 훨씬 더 많다. 이러한 석재를 사용한 것은 의도적이라기보다는 무덤이 위치한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인데, 다만 판석은 다분히 의도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할석의 가공 정도는 당시의 석재 가공기술의 파급을 반영하고 있어 무덤의 축조시기와 연동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청동기시대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국 동북지방의 돌덧널무덤은 요령 남산근()유적과 호두구()유적이 잘 알려져 있다. 1963년에 발굴조사된 남산근 101호묘는 아래로 좁아진 장방형 구덩 안에 네 벽을 냇돌로 쌓고 바닥에는 판석을 깔고 나무널〔〕을 두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부장된 청동검, 장신구() 등 청동유물을 통해 이 무덤이 서기전 9∼8세기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호두구유적의 돌덧널무덤들은 냇돌로 원형 호석()을 쌓고 그 안에 돌덧널을 지하식으로 쌓았다. 그 중의 한 무덤에서는 목질장구()의 흔적과 비파형동검(: ) 2점이 출토되어 중국 춘추시대(서기전 770∼서기전 403년)의 중·후엽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돌덧널무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남산근 유적은 한반도의 청동기문화와 관련이 깊다. 한국의 청동기시대 설정이나 문화를 언급할 때 비파형동검은 어느 유물보다 중요한 유물이다. 이 유물의 분포는 내몽고로부터 중국 동북지방, 그리고 우리나라의 남단에 이르기까지 광대한 지역에 퍼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부여 송국리 등지에서 출토한 비파형동검의 조형()이 남산근에서 발견되었다. 또 남산근의 돌덧널무덤과 유사한 형식이 대전 괴정동, 아산 남성리, 부여 연화리 등지에서 발견되었다. 나아가서 요령지방의 돌무지무덤[]과 돌널무덤[]도 한반도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남산근유적을 통해 요령지방에서 한반도에 이르는 지역이 당시에 문화적 동질성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요령남산근유적 [遼寧南山根遺蹟]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문화적 동질성=고조선 문화

 

 

위 자료 결말 부분 중>>---------------------------------------

요서지방 청동기문화의 담당주민과 그 성격을 중국학계에서는 동호() 또는 산융()이라 보고, 북한 학계와 일부 남한학계는 예맥()으로 파악한다.--------------------------------------------------------------------

 

4. 유전자와 체질인류학으로 비교

1) 하가점 하층 부터 비교

https://blog.daum.net/daesabu/18328447

 

 

유전자로 증언하는 선조들

제목: 고조선의 성립배경과 발전단계 시론, 한창균: 건국대학교 학과 부교수 지금까지 우리는 하가점 하층문화기의 청동유물이 나오는 유적의 범위와 연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러면

blog.daum.net

 

2) 하가점 상층 유전자=서산 대죽리 유전자 100% 일치

https://blog.daum.net/daesabu/18328264

 

잘 보세요. 제 혼자 연구와 다수 인류 학자들 연구 비교

잘 보세요. 제 혼자 연구와 다수 인류 학자들 연구 비교 세부적인 것은 다수학자들이 잘 정리했지만, https://www.youtube.com/watch?v=OvpVJyGWLYg 단어로 추론 , 발생 장소 등은 제가 먼저 했지요. 그.

blog.daum.net

5. 우실하 교수님 연구

일곱째, 조기 청동기시대(早期青銅器时代) 하가점하층문화(夏家店下層文化: BC 2300-1600). 2) 류국상은 청동기시대로 진입하는 하가점하층문화 시기에는 고급 문명사회(高級文明社會)’에 진입한다고 보고 있다. 하가점하층문화 시기에 요서지역에는 중국 고고학의 대원로인 고() 소병기(蘇秉琦: 1909-1997)방국(邦國 혹은 方國) 단계의 대국(大國)’이라고부르고3), 설지강(薛志强)()나라보다 앞서서 건설된문명고국(文明古國)’이라고 부르는 국가가 존재하고 있었다고 본다.4) 한국 학자들 가운데 단군조선을 인정하는 사람들은 이 시기를 초기 단군조선과 연결시키기도 한다.

여덟째, 후기 청동기시대 하가점상층문화(夏家店上層文化: BC 1000-300). 이 시기에는 비파형동검이 출토되는 시기로 많은 한국 학자가 고조선과 연결시키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요하문명의 기본적 성격 (요하문명과 한반도, 2019. 3. 7., 우실하)

 

6. 결론: 산융의 첨수도--->고조선 첨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