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1. 11. 18:33ㆍ김해,고성,합천,진주,부산,양산,밀양
고성 박물관에 가면 그릇에 古가 적혀 있고, 한자라 해석합니다.
확대경으로 볼 수 있으니 누가 보아도 고성의 고(古)라 할 만 할 것입니다.
하지만 만약 그릇을 원래 대로 돌리면,
그릇을 바로 세우면, ㅁ 아래 十 이 붙은 그릇글(무늬: 가림토)이 됩니다.
'가림다/가림토' 는 '그릅 ㅁ딃'-->'그름 ㅁ듸' -->ㅁ 탈락 '가림 다'/ 가림 토
'그릇 무늬(글)'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가림토라 보는 것이고 한자라 해석하지 않는 것입니다.
-----------------------------------------------------------------------------
그리고 ㅁ 아래 十이 명확하지 않고 오히려 '므, 모' 라 보아야 하는 것입니다.
이는 이미 제 고조선문자 1권(2011년 발간, 경진출판사) 261쪽에 발표한 '첨수도 자모음'도에
'므' 와 '모' 가 담겨 있습니다.
https://blog.daum.net/daesabu/18286334
여기 이전 자료가 있습니다.
# 전부 기절할 듯......
https://blog.daum.net/daesabu/18297907
https://blog.daum.net/daesabu/18311905
대간? 아니지요? 가림토 문자 부호입니다. 모든 한글 부호가 나오는 통합 문자입니다.
https://blog.daum.net/daesabu/18319735
이전에 공개한 조선 백자에 새긴 한글 보시겠습니다.
# 이 가장 많이 나오는데, 그릇 부호이자, 자모음 통합 자판이라는 제 주장을 충분히 간접 증명하는 자료입니다.
저는 조작 그 따위 짓은 안합니다.
어른들 처럼....
'김해,고성,합천,진주,부산,양산,밀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성의 문자 기와를 읽는 법 (0) | 2021.11.28 |
---|---|
양산 박물관에서 만난 ㅅ (0) | 2020.01.08 |
빗살무늬 토기의 ㅅ (0) | 2019.01.14 |
양산박물관 패총 설명 (0) | 2018.11.12 |
양산 박물관 패총의 의미 (0) | 2018.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