뾰족하다, 날카롭다 =예리(銳利)하다 고찰

2021. 11. 3. 21:59우리 옛말 공부

뾰족하다, 날카롭다 =예리(銳利)하다 고찰

 

뾰족하다가 왜 예리하다일까요? 너무 멀어 보이는데, 그냥 마구잡이로 갖다 붙인 것인 해석일까요? 먼저 우리말 뾰족하다의 옛말을 아셔야 합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cefd8de114544418aab234507914eca8

옛말은 ᄲᅩ죡ᄒᆞ다외에 ᄲᅩ롣ᄒᆞ다도 있습니다. 두 번째 초성은 ㅺ/ㅼ에서 ㅈ 되어 이고, ㄹ 되어 이 됩니다. 첫음 ㅽ 의 ㅂ 이 ㅇ 되면 ()’가 되고 ㅂㄴ에서 ㄴ 은 날카롭다가 되는 것입니다. ‘은 그대로 ()’란 한자어가 됩니다. 그래서 알고 보면 굉장히 먼 한자음 조차 고대 한국어 ㅴ/ㅄㄴ에서 갈라진 단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영어는 ㅂ의 ㅍ 의 pointed 이고, ㅅ은 sharp 인 것입니다. 좀 과장하자면, ‘뾰족하다의 우리 옛말 ᄲᅭ의 원어 ᄲᅭᆲ에서 늘어진 sharp 인 것입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솜소미=촘촘히  (0) 2021.11.03
솕=비단의 하나  (0) 2021.11.03
솔옷=송곳  (0) 2021.11.03
솔살=촉이 뼈로 된 살  (0) 2021.11.03
손에 뉴=수갑(手匣)  (0) 2021.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