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비채비’ 경기 방언과 차례차례(次例次例)고찰

2021. 11. 2. 16:41우리 옛말 공부

채비채비경기 방언과 차례차례(次例次例)고찰

 

https://ko.dict.naver.com/#/entry/koko/f2f4f01b6f9e4149a70584586838168f

  역시 한자어 차례차례(次例次例)’를 원어로 하고 채비채비가 한자어에서 나온 것으로 해석하지만, 저와 같이 공부하신 분들은 ㅲ/ㅳ의 ㅂㄹ에서 갈라진 표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유사 동의어로 차근차근/차곡차곡이 있고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6411bc5233b41ff836efae23e5055f6

 ‘차곡차곡의 제주 방언이 차북차북이 있으니 채비채비란 경기 방언은 당연히 우리 고유어이고 우리말 흉내낸 대표적인 4자 성어가 차례차례(次例次例)’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차근차근의 변음이 한자어 차례차례(次例次例)’인 것입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소 ᄯᅳ다=솟아 뜨다  (0) 2021.11.02
소부리=안장(鞍裝)  (0) 2021.11.02
소명ᄒᆞ다=해맑다  (0) 2021.11.02
소로다=칠하거나 묻히다  (0) 2021.11.02
소로소로=살살  (0) 2021.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