셩녕ᄭᅡᆫ=대장간, 작업장

2021. 11. 2. 09:45우리 옛말 공부

셩녕ᄭᅡᆫ=대장간, 작업장

https://ko.dict.naver.com/#/entry/koko/b0f34d1ba48f404282c7b605ab563658

  한자어 지을 주()’만들다이기도 하니 ㅶ/ㅁㅈ에서 나온 우리말과 한자어이고 ㅄㄴ에서 셩녕이 됩니다. 만들다’ ‘짓다의 동의어가 성녕인 것입니다. ‘이란 만들고 짓고하는 것이니 일 사()’이고, ‘성녕까지 염두에 둔다면 사업(事業)’이 나오는 것이고 ㅅ이 ㅈ 되면 작업(作業)’이 되는 것입니다.

 

성녕이 우리말과 한자어의 의 원조어가 되는 것입니다. ㅴ에서 ㅂ은 우리말 보금자리와 한자어 ()’이 되고, ㅺ 은 우리말 ᄭᅡᆫ’, ㅅ은 ()’이 되고, ㄱ은 우리말 ’, 한자어 ()’()’가 나오고, ㅈ 은 우리말 이 나오는 것입니다. ㅂ에서 ㅎ 은 house 가 됩니다.

 

우리말 보금자리의 ㅂㄱ 이 한자어 ()’()’의 출처입니다.

 

작업장

영어는 ㅅ에서 shed 가 되고, ㅂ이 w 되어 workshop 이 됩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셩ᄭᅴ=성깔, 노기(怒氣)  (0) 2021.11.02
셩셕=성, 노기(怒氣)  (0) 2021.11.02
셩ᄆᆞᄅᆞ다=성마르다, 셩ᄊᆞ다=성급(性急)하다  (0) 2021.11.02
셩내다=성내다  (0) 2021.11.02
셧녁=서녁  (0) 2021.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