셜합=서랍

2021. 11. 2. 07:31우리 옛말 공부

셜합=서랍

 

종성 ㄼ/ㅀ에서 ‘-/-이 된 후, ‘-이 됩니다. 먼저 사전 설명을 보겠습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4a236ce05a51435cb0cf8ff529fe8103

<<현대 국어 서랍의 옛말인 셜합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의 전반부 요소인 빼다의 뜻인 혀다가 구개음화된 셔다의 관형사형 로 볼 가능성과 한자 로 볼 가능성이 둘 다 있는데 어느 것인지 판단하기는 어렵다. 후반부 요소인 작은 용기를 뜻하는 한자어 이다. ‘은 근대 국어 후기에 단모음화되어 이 되었고 의 한자어로서의 인식도 부족하여 이 탈락한 으로 인식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현재의 서랍이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서 2가지 의미를 추정 했는데, ‘빼다로 설명한 것은 맞습니다. ㅄ에서 나온 -’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을 한자어 으로 설명할려는 것은 역시 우리말의 종성 변화 과정을 19C 자료를 토대로 해석한 내용입니다.

 

특이한 사실은 19C에 ㅅ 대신 ㅎ 도 나타나 혈합이라 했는데, ㅄ 의 ㅂ 이 ㅎ 으로 나타난 형태입니다

 

영어는 ㅳ에서 ㄷ 의 drawer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