섥=설기

2021. 10. 29. 15:06우리 옛말 공부

=설기

https://ko.dict.naver.com/#/entry/koko/929a50d058b045528f208e680b588ada

 

 

먼저 설기의 의미부터 보겠습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946513fee3c4c38824836a0a2cab172

<< 싸리채나 버들 채 따위로 엮어서 만든 네모꼴의 상자. 아래위 두 짝으로 되어 위짝으로 아래짝을 엎어 덮게 되어 있다. >>

 

 

옛말은 인데 종성은 ㄼㄱ 의 ㄺ 이라 보면 됩니다. ‘의 한자어는 상자/섥 협()’, ‘상자/섥 ᄉᆞ()’라고 하니 ㅄ에서 ㅂ의 ㅎ 은 ’, ㅅ은 ᄉᆞ인 것이고 현대어는 상자(箱子)’이 되는 것입니다. '상자'란 네모난 그릇이니 ㅄ 다음에 그릇의 ㄱ 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ㄷ은 담는 통이 됩니다. ㅂ은 영어 box 이고, ㄱ 은 case입니다.

그래서 우리말 /에서 한자어 ()’이 나왔고 의 원래 합용병서는 ᄡᅥᆰ이었으니 모든 상자를 만든 원조도 고대 한국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섭=섶  (0) 2021.10.30
섨날 =설날  (0) 2021.10.29
모두/모든 제(諸)  (0) 2021.10.29
수도 서울과 서라벌 의 정체를 밝힙니다.  (0) 2021.10.29
설피다=설피다, 성기다  (0) 2021.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