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러운 때 , 복습

2021. 6. 4. 10:143마디 9초성 영단어장

더러운 때로 증명하겠습니다.(복습)

https://ko.dict.naver.com/#/entry/koko/7b49f59e8f8948348b9202011e9730d8

의 우리 옛말은 ᄠᆡ입니다.

 

 

'때 때다' 아니고 '때 묻다' 입니다. ㅁ 이 사용된 경우입니다.

 

 

더럽다의 ㅅ 은 표준어에 없지만,

https://ko.dict.naver.com/#/entry/koko/e68878ece72b4e9b868e06139d817b42

경남 방언에 쑥쑥하다로 나타납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4a998ba1731041b0aa24322fcf35b6de

그리고 경남 방언에 은 ㅈ/ㅊ 의 추접다가 됩니다.

ㅈ은 표준어 '지저분하다'가 됩니다.

/ㅂ 은 먼지입니다. 즉 동사형 ' 묻다'가 되는 것입니다.  

https://en.dict.naver.com/#/entry/enko/a819cd27adee493f835042baa806c874

영어는 ㅁ 의 mote 입니다.

 

영단어로는 명사만 사용되지만,

mote 는 우리말 '먼지' '묻다', 특히 '묻다'에 종성만 빼면 거의 그대로입니다.

 

 

그러면 영어는 dirt, ㅅ 붙인 stain 이 되는 것입니다. 먼지는 ㄷ 의 dust 가 되는 것입니다.

ㅅ에서 영어 soil, smut, speck 이 나오게 됩니다.

stain, soil, smut, speck 은 우리말 방언 '쑥쑥하다'에 해당됩니다.

 

ㄷ에 상대하는 ㄱ에서 한자어 ()’가 됩니다. ㄱ의 영어는 grime, grunge입니다.

 

한자어는 더러울 추()’, 우리말 추접다란 방언 그대로입니다.

 

다시 돌려 말하자면, stain에서 ㅅ 탈락한 것이 dirt, dirty, dust입니다.

 

 

ᄠᆡ 끼다의 옛말은 ᄠᆡ 지다입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32dabe4aae024465aab28e550d892589

역시 ㅺ 이 ㅈ 되었음을 분명하게 알 수 있습니다.

 

'3마디 9초성 영단어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러운 때 가 나타나는 단어들...증거  (0) 2021.06.04
때의 비밀  (0) 2021.06.04
보다 고찰 , 복습  (0) 2021.06.03
ㅄㄷ=부수다, 그대로 bust  (0) 2021.06.03
infringe 재고찰  (0) 2021.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