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러미의 증언 (복습)

2021. 5. 26. 09:013마디 9초성 영단어장

'꾸러미', 사물의 증언

https://ko.dict.naver.com/#/entry/koko/eb5f3675d3ed49689eca8cb8a3a0533e

꾸러미는 생물도 아닌 무생물인데, 증언을 하겠다 합니다.

 

ㅄ그례

 

ㅄㄱ 이 모두 있습니다.

 

우리말은 ㅂ 에서 '보따리', ㅁ 에서 '묶음, 뭉치'가 됩니다.

 

영어는 ㅂ 에서 bundle, bunch 가 되고,

ㅍ 되어 pack, packet, package, parcel 이 됩니다.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32c5ab5c5b194d1586b678bb1c6b3b1f

꾸러미 포(包), 주로 '쌀 포'라 알려진 단어입니다.

 

ㅂ 이 ㅍ 되었습니다.

 

우리말 '보따리'를 넣어도 '보따리 포(包)'가 나오게 되는데, 이 사실이 중요합니다.

 

'보따리, 싸다, 꾸러미'가 모두 포(包)란 한자어에 들어 있는데,

바로 우리말 'ㅄㄱ'의 분파일 뿐입니다.

 

아무리 억지 공부를 떠벌리는 사람(?)이라도

한자어 포(包)에서 우리말 '보따리, 싸다, 꾸러미'가 나오고 더군다나 우리 옛말 'ㅄ그례'가 나왔다고는 못하실 것입니다.

그래서 '보따리를 보따리다' 안하고 '보따리를 싸다'라고 하는 것입니다.  

 

'보따리, 보자기' 에 보(褓)를 한자어로 보건 안보건 우리에게

싸다의 ㅄ, 꾸러미의 ㅄㄱ 이 있으니, '보따리, 보자기' 고어는 한국어 'ㅄㄱ'의 '꾸러미'인 것입니다.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307564248ce74081ac58c777647fbc39

'쌀 과(裹)' 라고 아는 한자어입니다.

 

ㅅㄱ 에서 ㄱ의 과입니다. '꾸러미 과'로도 사용되어 ㄱ이 일치합니다.

 

ㅅ은 '싸다'가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47fbb84640bf431286476656e67b292c

'싸다'의 옛말은 'ㅄ' 이니

 

ㅄㄱ 에서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ㅄㄱ 은 ㅂ 은 포, ㅅㄱ 은 ㅈ 되어 장,

포장(包裝)이 됩니다.

 

그래서 포장하다는 영어로 ㅂ 에서 w 되어 wrap 이고,

위에서 '꾸러미'의 ㅍ 의 pack, package 가 동사로 '포장하다'가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꾸러미'도 사람의 인지가 발달되면서 거의 처음 만든 도구에 속하기에

ㅄㄱ 을 가진 한국어가 모든 언어의 원조라는 것입니다.

 

이제 꾸러미, 번들, 보따리, 팩, 패키쥐, 포장, 모두 고대 우리말 동의어임을 아시겠지요.

 

 

<< 고조선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참조>>

 

 

--------------------------------------------

추가)

 

그러면 서양 한나라, 핀란드에서 어떻게 증언하는지 보겠습니다.

 

먼저 '뭉치'와 '묶음'의 우리 고어는 '뭃히/뭉히' 입니다.

 

우리는 뭉히에서 뭉치가 되었고

https://dict.naver.com/fikodict/#/entry/fiko/ec6bdcf6a85f4fdaa429dbe13dbacc63

핀란드어는 뭉히-->뭉티-->무티 mytty 가 됩니다.

 

https://dict.naver.com/fikodict/#/entry/fiko/3e8b9584eccf4afaafe1828d6abed9c6

ㅄㄱ은 ㅂㄱ 되어 ㅍㅋ 되니

paketti[파케티]가 됩니다.

 

ㅂㄱ은 ㅍㅋ 이고,

-히는 -티 입니다.

 

어때요?

우리말과 핀란드어 사이의 음가가 그대로 영어 package 와 같게 되지요?

 

 

-----------------------------뭉텅이/ 뭉텡이

https://ko.dict.naver.com/#/entry/koko/841d591431584548991c5b48e0293113

아직도 우리말 표준어에는 '뭉텅이'로 거의 '무티mytty' 의 원어로 남아 있습니다.

 

종성 ㅇㅇ 2개 빠진 핀란드어 알아 보는 것이 어려운 것이 세상 이치입니다.

 

 

-------추가)

 

몽골어를 보시겠습니다.

 

https://dict.naver.com/mnkodict/mongolian/#/entry/mnko/04e8dbbf525b497f86d87980ef6d948a

гогцоо[국처/걱처]

 

ㄱ 에서 나왔고, -히 에서 -처 됩니다.

 

  

https://dict.naver.com/mnkodict/mongolian/#/entry/mnko/4f4cf94570b14069bc62f97c14875a35

БАГЛАА[바글라]

 

몽골어 '바글라'는 우리말 'ㅂㄱ'이 정확히 남은 경우입니다.

 

역시 이 경우도 'ㅄㄱ 의 꾸러미'가 가장 고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일어 つと[츠토]

https://ja.dict.naver.com/#/entry/jako/8bd960409873466d87f68a14d297d4c2

이제 이 정도는 쉽지요.

 

 

ㅅㄱ 에서 ㅈ, ㅊ

히 에서 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