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2. 3. 15:18ㆍ언어와 유전자학
1. sepmoq[셉머크]
dict.naver.com/uzkodict/uzbek/#/entry/uzko/56cddd9a8d494c659c45eb7f86db28c6
2. purkamoq[푸르카머크]
dict.naver.com/uzkodict/uzbek/#/entry/uzko/4921cea59872444f982bf4b887835c5f
뿌리다 앞에서 많이 했습니다. 복습
몽골어)
뿌리다, 쏘다 =шүрших[슈르시흐]
쏘다의 ㅅ은 шүрших[슈르시흐] 그대로 이고, ‘뿌리다’ 의 옛말은 ‘ᄲᅮ리다’이니 ㅅ 의 шүрших[슈르시흐]입니다.
핀란드어)
뿌리다==pirskottaa [피르스콭타]
우리말 옛말은 ‘ᄲᅳ리다’입니다. 영어 spray, sprinkle, 한자어 파(播)가 됩니다. 핀란드어는 ‘ㅴ’에서 ‘ㅍㅅㅋ’ 으로 나타 것이고, 우리말과 영어는 ㅅ을 먼저 하고 ㅂ 과 ㅍ 으로 나타난 표현입니다. 제주 방언에 ‘가무끄다’가 나오는데, 이는 ‘ㅴ’ 중 ㄱ 이라고 봅니다.
ㅅㅂ 의 ㅅ에서 sepmoq[셉머크], ㅂ 의 purkamoq[푸르카머크]가 그대로 우크라이나어에도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dict.naver.com/lakodict/#/entry/lako/3cabed4f054746edad1d697e2d8ae890
라틴어는 spargo[스파르고] 로서 우리 옛말 ‘ᄲᅳ리다’에서 ‘다’ 부분만 ‘고’로 변한 것 뿐입니다.
뿌리다
한국어 ᄲᅳ리다
라틴어 spargo
영어 spray, sprinkle,
몽골어 шүрших[슈르시흐]
독어: ㅅㅎ에서 ㅽ 의 sprengen[쉬프렝언] ,
dict.naver.com/dekodict/#/entry/deko/2299c75e3f274b4b922cd6cb5928654a
ㅼ 이니 독어 streuen[쉬트로이엔] 이 있습니다.
우연히는 불가능하겠지예?
# 특히 우리말 ㅅㅂ 과 서양어 ㅅㅍ/sp 사이의 선후는 분명합니다.
ㅅㅂ 에서 sp-가 된 분명한 자료입니다.
또 다른 속어 '시버리다=speak, 독어 sprechen
ㅅㅂ 과 ㅅㅍ 의 분명한 변음 선후를 알 수 있습니다.
'언어와 유전자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텐공, 텐게르 고찰 (0) | 2021.02.03 |
---|---|
과거 고조선과 현 국가 비교 (0) | 2021.02.03 |
보조개란? (0) | 2021.01.24 |
한자음의 유래 (0) | 2021.01.24 |
N1 의 이주로 인한 동방 문화 전파 (0) | 2021.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