흻 의 나라
2020. 11. 29. 16:41ㆍ언어와 유전자학
전라도 우리 탯말
한새암, 최병두, 조희범, 박원석, 문틈 저, 소금나무, 324~327쪽
하: 아, 아무렴
하난: 많은, 제주 방언은 '하영'
하마: 아마도
하먼: 그럼, 그렇지
하잖하다: 보잘 것 없다 , 즉 한자어 하(下)
한갈쿠: 엉겅퀴
한질(한길): 큰길
한하구: 계속해서
함뽕: 한입에 , 입의 초성이 ㅁ 이니 ㅂ, ㅃ 이 되지요.
해리다: 약하다, 좋지 않다, 모자라다
* 한자어 약(弱)
우리말 '해리다'의 ㅎ 의 ㅇ 일 뿐이지요.
허뿍=담뿍, 충분히
허청: 창고, 광
허클다: 엎지르다, 역시 ㅎㄱ 에서 ㅇㅈ 됩니다.
헌두데기: 누더기, ㅎ 이 ㄴ 되는 현상
헌디: 그런데
#
ㅎ 에서 우리 현대어가 되는 단어들이 잘 나타납니다.
하다=크고 많고 넓고 깊다.
제주 방언 '하영', 전라 방언 '하난'
'언어와 유전자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쌀의 흰도 ᄒᆞ 이 있습니다. (0) | 2020.11.30 |
---|---|
왜 대머리일까요? (0) | 2020.11.29 |
황소=뿌사리=bull, ox (0) | 2020.11.29 |
달이 왜 심마니어 괭가리인가요? (0) | 2020.11.29 |
거짓깔 부린 것이 뽀록이 나서 니를 방구고 있더라.(전라도 우리 탯말) (0) | 2020.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