둏아하다/좋아하다--->དགའ་ཞན་བྱིད[간젠퓨다]
2020. 10. 2. 11:14ㆍ고대 한국어=티베트어
둏아하다/좋아하다--->དགའ་ཞན་བྱིད[간젠퓨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226쪽
ㄱ과 ㄷ중
ㄷ은 티벳 문자로 남고 소리는 사라진 것이고
우리는 ㄷ을 유지한 것입니다.
원래는 'ㄷ갏' 이고,
-하다가 -부다-->퓨다 로 변하고 -다 마져 문자로는 남았지만 소리가 흐려진 것입니다.
여기서 다시 우리말의 동사에
-힐후다를 붙인다는 사실을 안다면
티벳 중간의 '젠'은 '힐'의 변음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ㄷ굫하 힐후다 에서 우리말은 둏아하다,
티벳어는 '간젠퓨다'가 되고
영어는 ㄷㄱ이 모두 사라지고 like 로 남은 것입니다.
고대 ㄷㄱ음가 중 ㄷ 은 한국이, ㄱ 은 티벳이 현 음가로 보유했고
문자로 고대 음가를 티벳어가 남기고 있습니다.
#
여러번 설명 드렸듯이
'같다'와 '닿다' 모두 우리말입니다.
그러면 현재 우리말의 ㄱ 에는 ㄷ이, ㄷ에는 ㄱ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가다, 달리다, 가달=다리 각
즉
우리말 건너는 다리도
다리를 다리다 안하고 '건너다' 라고 합니다.
ㄷㄱ에서 ㄷ은 다리, ㄱ 은 건너다
이렇게 진리를 아셨지요?
해가 해다 아니고 해가 솟다, 해가 뜨다, 해가 빛나다.
ㅎ의 ㅅ, ㄷ, ㅂ 이 변음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이 흐르다, ㅁ 옆에 ㅎ 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리로 달리다, 다리를 건너다
다리 각(脚), 다리 교(橋)
무엇=뭐시기, 거시기
ㅁㄱ이 분리됩니다.
'고대 한국어=티베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가 왜 '차파'일까요? (0) | 2020.10.02 |
---|---|
구멍, 굴----> ཁུང[ㅋ훙] (0) | 2020.10.02 |
뫼산 རི[ri] 고찰 (0) | 2020.10.02 |
쇠 철=ལྕགས[cah][짜ㅎ] (0) | 2020.10.01 |
걸음=གོམ་པ[곰파] (0) | 2020.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