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힌두어를 열고 ki 라고 치면,

2019. 1. 30. 18:07강의

구글 번역기 힌두어를 열고 ki 라고 치면,


की 라고 아래에 뜹니다.


이것은 ㅋ 그대로 क 이고,

ㅣ 를 붙여 की 가 됩니다.



구자라트어를 보면,


k 를 치면 કે 가 나오고, ki 라 하면 કી 가 됩니다.


타밀어는 이렇게 적습니다.

கி

한글 필기체 같지요?

한글에 대한 생각이 달리 드실 것입니다.


진실을 찾겠다는 마음만 있다면,

얼마든지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진실을 직면할 필요가 있지예.


कीम[킴], 제가 적은 글자입니다.

 

한글 종성 풀어쓰기입니다.

 

'키ㅁ' 이런 식으로  적은 것입니다.


구글 힌디어 열고

오른쪽 자판에서 2번째 힌디아 inscript 에서

키 에 ㅁ을 쓰면 위 힌두어 한글이 됩니다.



ा[아-]장음입니다.


우연히라기에는 너무

닮았지예.



우리가 선입관을 배제하면,

진실을 볼 수 있습니다.


मी[미-], 미 장음이지만

거의 같습니다.


세종이 바로 보신 곳은

중국이 아니라 인도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당시

인류학, 유전학, 고고학이란

학문 자체가 없었으므로  

진실을 알 수는 없었지만



언어로 접근한 뿌리는

중국이 아니라 인도였는데


그 근원은

한반도, 중국, 인도에 걸친

K* 유전자 였던 것입니다.


'강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인된 고유전자 K2a*  (0) 2019.02.02
K 가 O 형으로 너무 세분화된 모습   (0) 2019.02.02
  (0) 2019.01.29
하라파 L 과 드라비다 H  (0) 2019.01.29
움직이다, 무브 move 와 같은 우리 옛말 '뮈다'   (0) 2019.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