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줄 무늬의 파급을 통한 배달국 고찰

2016. 5. 19. 06:33고조선 화폐문과 신석기토기무늬

 

사진 제공

 

Gil-sun Jung님

 

 

             <<  모스코바 박물관에 전시 중인 팽이형 토기>>

 

 

 

 

1.

 

시베리아 러시어 지역에도 팽이형 빗살무늬 토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요하와 우리 북쪽은 평저형 토기입니다.

 

남쪽 지방은 주로 팽이형이고 산동 대문구도 팽이형입니다.

 

완전히 같은 점줄 토기는 어떻게 보아야 할까요?

 

이것은 앞에서 제시한 서해 육지론으로 풀 수 있습니다.

 

 

여기에 거주하신 우리 신석기 초기 어른들이 물이 들어오자 시베리아 쪽으로 이주를 하신 것입니다.

 

추가) 위 사진에서  점은 8개인데, 출토지로 보입니다.

 

저 넓은 러시아에서 8개 밖에 없군요.-차후에 더 추가한 다고 합니다만,-- 우리는 현 서해 , 산동 빼고도, 남북한에 엄청 많은데요.

 

 

2. 비교 자료

 

 

                                  << 광주 박물관 >>

 

 

 

                                                         << 한국의 점줄 무늬 >>

 

3. 시기 조정

 

 만약 만년 전을 신석기 시작으로 보면, 서해 환국론이 맞지 않습니다. 만약 최근에 측정된 한국 신석기를 2만 2천년 정도로 본다면, 서해가 육지였던 시기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신석기 초기 점줄 팽이형 토기를 만든 시기 , 해수면의 상승으로 서해안의 배달국이 시베리라 쪽으로 이주를 한 것으로 판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