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야의 비밀

2014. 9. 21. 09:16국명 흐 의미

 

 

훈민정음에 대야의 옛말은 '다야' 입니다.

 

네이버 사전에 '大야' (중), 즉 한자에서 온 것으로 표기 하고 있습니다.

 

 

 

제가 바로 설명합니다.

이는 지금까지 공부한대로

 

우리말 '다'는 크다로서 나중에 한자 대(大), 태(太)가 됩니다.

인도어에 '다물''타밀' 로 남아 있습니다.

 

 

우리말 '모두 다' 이런 의미입니다.

 

야 에서 한자음 '야' 가 나온 것입니다.

 

다야에서 '담다' 가 나오고, '담뿍' 이 나오게 됩니다.

 

 

'다'는 바로 '바다'에서 (바)다 입니다.

 

놀랍지요.

 

 

한자 대와 태의 어원은 다인데, 바다입니다.  

우리말 ---다 는 닿을 내리고 도착하도되지만, 바다의 배달족 문장이다 라는 것입니다.

 

 

길 도(道)는 '다'로서 '바다의 길' 이란 의미입니다.

 

인더스 맨 마지막에 나오는 문자도 '배다'로 읽습니다.

 

우리말 -다 처럼 마지막에 붙이는 표현으로 '배달'족 표식입니다.  

 

고대 종교 '풍류도'는 '바람과 바다를 다스려 전 세계에 길을 낸 환국배달국 종교' 를 말하는 것입니다.

 

OK?

'국명 흐 의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과 생민 사이  (0) 2014.09.21
民의 의미?  (0) 2014.09.21
배 모양의 바구니  (0) 2014.09.20
담뿍의 의미?  (0) 2014.09.20
배 복에도 놀라운 사실이...  (0) 2014.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