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농기구 소리풀이

2010. 7. 28. 18:02신민수님 한글 상형소리 이론

 

 

♣ 한글공식

 

 

한글의 이치 : 한글은 그 꼴대로 그 뜻이 담김니다

                                                
※ 9자음                                                ※ 6모음
 
①  [ㅇ] : 원천 꼴   --->   [원천]근원                     ① [ㅣ] : 수직(마침) 
②  [ㄷ] : 다음 꼴   --->   [다음]도달                     ② [ㅡ] : 수평(진행)
③  [ㅅ] : 시작 꼴   --->   [시작]솟음, 東                ③ [ㅗ] : 동(東)
④  [ㄴ] : 내부 꼴   --->   [내부]내림, 西                ④ [ㅓ] : 서(西)
⑤  [ㅂ] : 분리 꼴   --->   [분리]분산, 南                ⑤ [ㅏ] : 남(南)
⑥  [ㅁ] : 뭉침 꼴   --->   [뭉침]모임, 北                ⑥ [ㅜ] : 북(北)

⑦  [ㄱ] : 곡선 꼴   --->   [곡선]꺽다
⑧  [ㅍ] : 평선 꼴   --->   [평선]펴다
⑨  [ㄹ] : 울림 꼴   --->   [활동]울림   

 
변형자음

[ㅎ] : ㅇ의 강조 꼴 ---> 해(태양)
[ㅌ] : 다음[ㄷ]에서 특징[ㅡ] 꼴 ---> 특징, 튕김, 투과(텅빈)
[ㅈ] : 솟음(ㅅ) 눌림(ㅡ) 꼴  ---> 조금, 자리 잡다(저장, 중심), 자름

[ㅊ] : 막힘 뚫고 새로운 시작 꼴 ---> (처음, 초월)솟음↑ 
                                                                      
* 한글은 위 공식에 대입하여 풀면 한글의 뜻이 살아남니다.

 

 

 

 ♣ 농기구 소리풀이

 

 

※ 삽

 

삽 = ㅅ(솟음) + ㅏ(앞으로) + ㅂ( 벌려 뭉침)

 

ㅅ : 상형, 삽은 뾰족하다

ㅂ : 벌려 뭉침, 흙을 품

      [ㅂ]은 벌려 모음의 뜻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예) 봉지, 봉투, 봉다리, 보자기, 배(船), 방(房), 바케스, 바구니, 버선, 병 등 

 

   

 

해설) 삽 : 뾰쪽[ㅅ]하게 생긴 부분으로 땅을 파[ㅂ]는 농기구

 

 

 

※ 호미

 

호미 =  ㅗ(좁은) + ㅁ(구멍) + ㅣ(마침모음)

 

ㅗ : 좁음, 모음중 가장 입술이 작게 벌리고 내는 소리

ㅁ : 상형, 구멍

 

홈 : 좁은 구멍

 

ㅣ : 마침모음

 

홈이 ---> 호미

 

  

 

해설) 호미 :  홈[ㅎ,ㅗ,ㅁ]을 파는 이[ㅣ]

                   

 

 

※ 곡캥이

 

곡캥이 = ㄱ(곡선)  + ㄱ(가다)  + ㅣ(마침소리)

 

ㄱ : 상형, 곡선

 

ㅋ : 강하게 가다, 캐다

 

ㅣ : 마침모음

 

   

 

 해설) 고캥이 : 곡선[ㄱ,ㅗ,ㄱ]으로 생겼고 흙을 캐[ㅋ]는 이[ㅣ]  

 

 

 

※ 갈퀴

 

갈퀴 =ㄱ(곡선) + ㄹ(활동) + ㅋ(가다) + ㅣ(마침모음)

 

ㄱ : 상형, 갈퀴의 곡선의 모양

ㄹ : 활동, 일함

 

ㅋ : 가다, 땅을 긁다

ㅣ : 마침모음 

 

  

해설) 갈퀴 : 곡선[ㄱ]모양으로 땅을 긁[ㅋ]는 이[ㅣ] 

 

 

 

※ 쇠시랑

 

쇠시랑 = 쇠(金) + ㅅ(솟음)

 

쇠 : 쇠(金)

 

ㅅ : 상형, 쇠시랑은 끝이 뾰족하다

 

 

 해설) 쇠시랑 : 쇠[쇠]가 솟[ㅅ]은 이[ㅣ]

 

 

 

※ 낫

 

낫 = ㄴ(내림)  + ㅅ(속도)

 

ㄴ : 눕다, 낫은 눕혀서 벤다

ㅅ : 속도, 지나가 자르다

  

 

해설) 낫 : 눕[ㄴ]혀 자[ㅅ]르는 도구

 

 

 

※ 톱

 

톱 = ㅌ(강한 다음) + ㅂ(분리 뭉침)

 

ㅌ : 강한 다음, 톱은 강하게 다아 자르는 도구임

ㅂ : 분리 뭉침, 톱은 나무와 만나서 자른다.

 

 

해설)톱 : 다아[ㅌ]서 자르[ㅂ]는 도구

 

 

 

※ 망치

 

망치 = ㅁ(뭉침) + ㅇ(큰 울림) + ㅊ(강한 속도) + ㅣ(마침모음)

 

ㅁ : 상형, 망치는 네모난 뭉침이다.

ㅇ : 물체를 쳐서 큰 울림이 나는 것을 형상화 한 것임

 

ㅊ : 강한 속도, 치다

 

ㅣ : 마침모음 

  

해설) 망치 : 뭉침[ㅁ]으로 치[ㅊ]는 이[ㅣ]

 

 

 

※ 장도리 

 

장도리 = ㅈ(자리 잡다) + ㄷ,ㅗ,ㄹ(돌림) + ㅣ(마침모음)

 

ㅈ : 자리 잡다, 잡다

 

ㄷ,ㅗ,ㄹ : 돌리다, [ㄹ]에는 회전의 뜻이 담김니다.

 

ㅣ : 마침모음

 

 

 

해설) 장도리 망치 : 잡[ㅈ]아 돌[ㄷ,ㅗ,ㄹ]리는 이[ㅣ] 

 

 

 

※ 도끼

 

도끼 = ㄷ(다음)  + ㄲ(강하게 가다) + ㅣ(마침모음)

 

ㄷ : 다음, 다아서

 

ㄲ : 강하게 가다, 깨다

 

ㅣ : 마침모음

 

 

 

해설) 도끼 : 다아[ㄷ]서 깨[ㄲ]는 이[ㅣ]

 

 

 

※ 못

 

1, 못 = ㅁ(못 머리) + ㅅ(끝이 뾰족함)

 

ㅁ : 상형, 못 머리

ㅅ : 끝이 뾰족한 모양

 

 

 

해설) 못 :  머리는 면[ㅁ]이 있고 끝은 뾰족하게[ㅅ]를 생긴 것

 

 

 

※ 정(釘 : 못)

 

정 = ㅈ(자리 잡다) + ㅓ(내부) + ㅇ(원)

 

ㅈ : 자리 잡다,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다

ㅓ : 내부

ㅇ : 상형, 못 대가리

 

해설) 정(釘) : 움직이지 못하게 눌러[ㅈ] 내부[ㅓ]로 밖는 동그란[ㅇ] 것

 

 

 

※ 작두

 

작두 = ㅈ(솟음 눌림) + ㄱ(내려 다음) + ㄷ(다음)

 

ㅈ : 솟음  눌림, 작두는 위에서 누른다.

ㄱ : 내려 다음, 종성[ㄱ]에서만 담길 수 있는 뜻

      혀 뿌리가 입천정에 살짝 다으면서 만들어진 뜻

 

   예) 찍다, 뚝둑, 떡, 딱지, 쿡, 똑똑, 축(築), 식(植) 등

 

ㄷ : 다음

 

 

해설) 작두 : 강하게 눌러[ㅈ]서 다아[ㄱ] 풀을 절단[ㄷ]하는 농기구

 

 

 

※ 도리깨

 

도리깨 = ㄷ,ㅗ,ㄹ(돌림) + ㄲ(강하게 가다)

 

ㄷ,ㅗ,ㄹ = 돌림

ㄲ : 강하게 가다, 강하게 가서 깨다

 

     예) 깨다, 깍다, 꺽다, 깨끗하다, 깨닫다 등 

 

 

 

해설) 도리깨 : 돌[ㄷ,ㅗ,ㄹ]려서 깨[ㄲ,ㅏ.ㅣ]는 이[ㅣ]

 

 

 

※ 마대

 

마대 = ㅁ(뭉침) + ㄷ(다음)

 

ㅁ : 뭉침, 마대는 모으는 것

ㄷ : 다음, 마대는 담는 것

 

 

 

해설) 마대 : 모아서 담는 것

                 원래는 마(麻)로 만든 대였다고 합니다.

 

 

 

※ 푸대

 

푸대 = ㅍ(평평) + ㄷ(다음)

 

ㅍ : 평평, 푸대는 평평하게 생겼다,

ㄷ : 다음, 담다

 

 

 

해설) 푸대 : 평평[ㅍ]하게 생긴 것으로 담[ㄷ]는데 사용되는 것

 

 

 

 ※ 지게

 

지게 : ㅈ(자리 잡다) + ㄱ(가다)

 

ㅈ : 자리 잡다, 지게 위에 물건을 실은 것을 표현

ㅣ : 마침모음

 

ㄱ : 가다 

 

   

 

해설) 지게 : 짐을 지고[ㅈ]과 가[ㄱ]는 것

 

 

 

※ 수래(수레)

 

수래 = ㅅ(손) + ㄹ(회전) + ㅣ(마침모음)

 

ㅅ,ㅜ : 手, 손

 

ㄹ : 회전, 회전의 뜻으로 사용됨

 

      예) 빙글빙글, 틀다, 돌다, 구르다, 말다 등

 

ㅣ : 마침모음

 

 

 

해설) 수레 : 손[ㅅ,ㅜ]으로 끌어 바퀴를 회전[ㄹ]시켜 가[ㅏ]는 이[ㅣ]

 

 

 

※ 달구지

 

달구지 = ㄷ(다음) + ㄹ(회전) + ㄱ,ㅜ(구르다) + 지(마침소리)

 

ㄷ : 다음, 달구지는 소나 말에 달려서 움직인다.

ㄹ : 회전, 회전하여 소에 메달다.

 

달 : 달다, 메달다

 

ㄱ,ㅜ : 구르다, ㄹ탈락

지 : 마침소리

 

 

 

해설) 달구지 : 메달[ㄷ,ㄹ]려 구르[ㄱ,ㅜ]는 이[ㅣ]

 

 

 

 

소리이론

http://cafe.daum.net/who.am.i/3Waa/295

출처 : 소리이론
글쓴이 : 신민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