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 상형한글 : [ㄱ] ☞ [고개 구부림] 모양

2010. 7. 22. 18:35신민수님 한글 상형소리 이론

 

 

 

♣ 한글공식

 

                                                
※ 9자음                                                ※ 6모음
 
①  [ㅇ] : 원천 꼴   --->   [원천]근원                     ① [ㅣ] : 수직(마침) 
②  [ㄷ] : 다음 꼴   --->   [다음]도달                     ② [ㅡ] : 수평(진행)
③  [ㅅ] : 시작 꼴   --->   [시작]솟음, 東                ③ [ㅏ] : 東(아침태양)
④  [ㄴ] : 내부 꼴   --->   [내부]내림, 西                ④ [ㅓ] : 西(저녁태양)
⑤  [ㅂ] : 분리 꼴   --->   [분리]분산, 南                ⑤ [ㅗ] : 南(정오태양)
⑥  [ㅁ] : 뭉침 꼴   --->   [뭉침]모임, 北                ⑥ [ㅜ] : 北(자정태양)

⑦  [ㄱ] : 곡선 꼴   --->   [곡선]꺽다
⑧  [ㅍ] : 평선 꼴   --->   [평선]펴다
⑨  [ㄹ] : 울림 꼴   --->   [활동]울림   

 
변형자음

[ㅎ] : ㅇ의 강조 꼴 ---> 해(태양)
[ㅌ] : 다음[ㄷ]에서 특징[ㅡ] 꼴 ---> 특징, 튕김, 투과(텅빈)
[ㅈ] : 솟음(ㅅ) 눌림(ㅡ) 꼴  ---> 중심, 조금, 자리 잡다(저장), 자름

[ㅊ] : 막힘 뚫고 새로운 시작 꼴 ---> (처음, 초월)솟음↑ 
                      
                                                
* 한글은 위 공식에 대입하여 풀면 한글의 뜻이 살아남니다. 

 

 

 

 

♣ 상형한글 : [ㄱ] ☞ [고개 구부림] 모양

 

 

 

※ 고개

 

고개 = ㄱ(곡선) + ㄱ(가다)

 

ㄱ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ㄱ : 가다

 

해설) 고개 : [ㄱ]자로 구부러지는 부위

 

 

※ 목

 

목 = ㅁ(머리) + ㅗ(목과 양팔) + ㄱ(곡선)

 

ㅁ : 상형, 머리

ㅗ : 상형, 목과 양팔

ㄱ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해설) 목 : 머리[ㅁ]와 양팔[ㅗ] 가운데 구부러지[ㄱ]는 부위

 

 

※ 끄떡

 

끄떡 = ㄲ(곡선) + ㄸ(다음)

 

ㄲ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ㄸ : 다음

 

해설) 끄떡 : 고개을 구부리[ㄲ]는 동작

 

 

※ 까딱  

 

까딱 = ㄲ(곡선) + ㄸ(다음)

 

ㄲ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ㄸ : 다음

 

해설) 까딱 : 고개을 구부리[ㄲ]는 동작

 

 

※ 괜찮다

 

괜찮다 = ㄱ(곡선) + 찮다

 

ㄱ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괜찮으면 고개를 끄덕인다.

 

해설) 괜찮다 : 괜찮으면 고개를 끄떡 끄떡 구부린[ㄱ]다.

 

 

※ 숙이다

 

숙이다 = ㅅ(시작) + ㅜ(밑으로) + ㄱ(곡선)

 

ㅅ : 시작, 큰 뜻 없이 사용된 자음

ㅜ : 밑으로

ㄱ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예) 숙[宿 : 졸다, 熟 : 익다, 肅 : 엄숙, 塾 : 글방] 

 

해설) 숙이다 : 허리나 고개를 구부리[ㄱ]는 동작

 

 

※ 숙녀

 

숙녀 = ㅜ(밑으로) + ㄱ(곡선) + 녀(女)

 

ㅅ : 시작, 큰 뜻 없이 사용된 자음

ㅜ : 밑으로

ㄱ : 상형, 고개 구부림 

 

숙 : 숙이다 또는 숙[熟 : 성숙하다]

 

녀 : 여(女)

 

해설) 숙녀 : 고개를 잘 숙이는 여자

                 또는 성숙한 여자

 

 

※ 쑥스럽다

 

쑥스럽다 = ㅜ(밑으로) + ㄱ(곡선) + 스럽다

 

ㅅ : 시작, 큰 뜻 없이 사용된 자음

ㅜ : 밑으로

ㄱ : 상형, 고개 구부림 

      쑥스러우면 고개를 숙그린다

 

해설) 쑥스럽다 : 쑥스러우면 고개를 구부린[ㄱ]다

 

 

※ 고(考 : 생각)

 

고 = ㄱ(곡선)

 

ㄱ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생각할 때는 약간 고개를 구부린다.

 

해설) 고(考) : 고개를 구부리[ㄱ]고 생각한다

 

 

※ 곰곰히

 

곰곰히 = ㄱ(곡선)

 

ㄱ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곰곰히 생각할 때는 고개를 구부린다.

 

해설) 곰곰히 : 곰곰히 생각 할 때는 고개를 구부린다.

 

 

※ 기(祈 : 기도)

 

기 = ㄱ(곡선)

 

ㄱ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기도는 고개를 구부리고 한다

 

해설) 기(祈) : 고개를 구부리[ㄱ]고 하는 것

 

 

※ 고(孤 : 외로움)

 

고 = ㄱ(곡선)

 

ㄱ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외로우면 고개가 숙여진다.

 

해설) 고(孤) : 외로우면 고개가 숙여진[ㄱ]다

 

 

※ 고독

 

고독 = ㄱ(곡선)

 

ㄱ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고독하면 고개를 구부린다.

 

해설) 고독 : 고독하면 고개를 구부린[ㄱ]다

 

 

※ 고민

 

고민 = ㄱ(곡선)

 

ㄱ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고독하면 고개를 구부린다.

 

해설) 고민 : 고민은 고개를 구부리[ㄱ]고 한다

 

 

※ 걱정

 

걱정 = ㄱ(곡선) + ㅈ(자리)

 

ㄱ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걱정이 생기면 고개를 구부린다.

ㅈ : 자리

 

해설) 걱정 : 걱정이 생기면 고개를 구부린[ㄱ]다

 

 

※ 고치다

 

고치다 = ㄱ(곡선)

 

ㄱ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고칠때는 고개를 구부리고 고친다.

 

해설) 고치다 : 고칠때는 고개를 구부리[ㄱ]고 고친다

 

 

※ 개(改 : 고치다)

 

개 = ㄱ(곡선)

 

ㄱ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고칠 때는 고개를 구부리고 고친다.

 

해설) 개(改) : 고칠때는 고개를 구부리[ㄱ]고 고친다

 

 

※ 책(冊)

 

책 = ㅊ(처음 솟음) + ㄱ(곡선)

 

ㅊ : 처음 솟음, 책은 처음을 배우는 것

ㄱ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책은 고개를 구부리고 본다.

 

해설) 책(冊) : 고개를 구부리[ㄱ]고 보는 것 

 

 

※ 학(學)

 

학 = ㅎ(해) + ㄱ(곡선)

 

ㅎ : 해, 배우는 것은 환해지는 것

ㄱ : 상형, 고개를 구부린 모양

      공부는 고개를 구부리고 한다.

 

해설) 학(學) : 환해지[ㅎ]려고 공부[ㄱ]하는 것

 

 

※ 공부

 

공부 = ㄱ(곡선) + ㅂ(분리)

 

ㄱ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공부는 고개를 구부리고 한다.

ㅂ : 빛, 빛은 분산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공부는 밝아지는 것이다.

 

해설) 공부 : 고개를 구부[ㄱ]려 밝음ㅂ]을 찾는 것 

 

 

※ 독(讀)

 

독 = ㄷ(다음) + ㄱ(곡선)

 

ㄷ : 다음, 읽는 것은 도달하는 것

ㄱ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고개를 구부려 책을 읽는다.

 

해설) 독(讀) : 고개를 구부[ㄱ]려 책을 읽는다

 

 

※ 읽다

 

읽다 = ㅣ(사람) + ㄹ(꼬불꼬불) + ㄱ(곡선)

 

ㅣ : 사람

ㄹ : 꼬불꼬불, 책을 읽는 모양은 꼬불꼬불

ㄱ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책은 고개를 구부리고 읽는다.

 

해설) 읽다 : 책을 읽는 모양을 [ㄹ]과 [ㄱ]을 통하여 상형화한 글

 

 

※ 숙제

 

숙제 = ㅅ(시작) + ㅜ(밑으로) + ㄱ(곡선)

 

ㅅ : 시작, 큰 뜻 없이 사용된 자음

ㅜ : 밑으로

ㄱ : 상형, 고개 구부린 모양

 

숙 : 숙이다

 

ㅈ : 자리

 

해설) 숙제 : 숙제는 고개를 숙여[ㄱ]서 한다

                  

 

 

소리이론

http://cafe.daum.net/who.am.i

출처 : 한글창제원리
글쓴이 : 신민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