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11. 22. 10:54ㆍ세계정음 수필.
세종께서 훈민정음 신제(新制) 이전에 공부하신 문자.
1. 범자라고 알려진 불교문자.
2. 티벳 문자의 체계와 행서초서체.
3. 인도구자랏, 인도데바나가리 문자.
4. 몽골 파스파 문자.
5. 점선토(點線吐) 구결문자.
6. 한자
7. 동남아시아(태국,미얀마,캄보디아)문자도 연구했을 가능성 있음.
* 가림토(혹은 가림다) 문자의 진위 여부는 아직 알 수 없으나,
세종께서 본인이 말씀하신 새로이 만들었다의 신제(新制)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문자를 만드신 것이 아니라, 많은 이전 문자를 연구하여 최고의
문자로 신제(新制)한 것입니다.
신제(新制)를 창제(創製)라고 오류를 가져오게 된 이유
1. 국어학자(최세진 조부님)들이 근대학문을 정립하면서, 훈민정음 체계를 함부로
훼손하여 순서를 바꾸었기 때문이다.
(일면 편리성의 측면도 있습니다만,...)
2. 비교 대상이 되는 문자에 한자,일본가나문자,만주문자가 주된 것이었고, 근현대 문물도
영어로마자(북한은 러시아 키릴문자) 위주의 문물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아시아 소리 문자에 대한 전반적인 공부가 부족했다.
여기에 가시면 아시아 문자가 소리 음가에 대응해서 한글 제외하고 다 정리되어 있습니다.
http://www.geocities.com/Athens/Academy/9594/brahmi.html
3. 이전에는 불교를 출발시킨 서역(인도와 그 근방)을 문화선진국이라 여겼는데, 근현대의
서양 학문적 시각으로 아시아문화와 문자를 볼려고 했기 때문이다.
'세계정음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ㄱ 다음 ㅋ 인 이유 (0) | 2007.11.26 |
---|---|
브라미 문자와 훈민정음 (0) | 2007.11.23 |
5세 김혜민 양 급성림프구성 백혈병으로 투병. (0) | 2007.11.22 |
아 축하 문학철 사부님 출판기념회. (0) | 2007.11.21 |
아 축하 묵운 최영진 사부님 한국화 특선. (0) | 2007.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