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1. 30. 20:35ㆍ가림토연구
가림토-ㄱ 소리
이 문자는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진짜인지 가짜인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먼저 어떤 소리에 대응할 수 있을까 생각해보겠습니다.
이 분야에 선구적인 연구
천부경과 단군사화,김동춘,가나출판사, 283쪽입니다.
전문 언어학자 못지않게 연구해 두셨습니다.
아음(牙音) --> 1) ㄱ --- 2) ㄱ 위에 점 , 3) ㄱ 위에 ㅡ ,4) M
[ㄱ] [ㅋ] [ㄲ] [ㅅㄱ,ㄱㅅ]
* 김동춘 스승님은 가림토 문자를 [ ]안 훈민정음 소리에 대응시켰습니다.
저는 지금까지 검토한 아시아 지역 , 문자들을 참고하여 대입해 봅시다.
아시아 소리 배열 |
ㄲ[k] |
ㅋ[kh] |
ㄱ[g] |
ㄱㅎ[gh] |
ᅌ [ㅇ와 ㄴ사이] |
가림토 |
ㄱ 위에 ㅡ |
ㄱ 위에 점 |
ㄱ |
(없음) |
M |
훈민정음 |
ㄲ |
ㅋ |
ㄱ |
(없음) |
ᅌ |
1. 가림토와 훈민정음 모두 다른 아시아 언어에 비해 , [ㄱㅎ] ([gh]를 이렇게 표현함)
소리가 없음.
2. 훈민정음 꼭지 ㅇ (ᅌ)은 ㅇ 와 ㄴ 사이의 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
세종의 훈민정음 신제 때 ㅋ 다음 ㅋ 위에 뿔을 세우는 것인데 문자모양과
아음(牙音)임을 참조하여 꼭지 ㅇ (ᅌ)으로 표현한 듯 함.
영어로마자 M 은 서양언어에서 [ㅁ] 소리이지만, 저는 세종의 꼭지 ㅇ 이 없었을
당시 M 이 이 꼭지 ㅇ 을 표현하는 듯하다고 봅니다.
참고로 티벳에서는 한글 ㄷ 이 이 소리를 표현함.
ང་[나]--> 우리 훈민정음 [ᅌㅏ]와 일치
# 결론) M 을 김동춘 사부님은 [ㅅㄱ] 혹은 [ㄱㅅ]으로 보았으나,
저는 [ ᅌ ] 으로 봄.
주의사항) 확정된 내용이 아닙니다. 임시로 가림토에 소리 음가를 대입하고 있는 중입니다.
'가림토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림토에 대한 고찰 (권재선 님) 반론-1 (0) | 2007.01.31 |
---|---|
가림토에 대한 고찰-권재선 님 (0) | 2007.01.31 |
가림토와 훈민정음 자음 상세비교 (0) | 2007.01.29 |
가림토 세부 고찰- 뿔 (0) | 2007.01.29 |
가림토 모음과 훈민정음 모음 비교 (0) | 2007.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