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릿-느릿 느리다’ 세계어 고찰

2023. 1. 15. 14:08말글경

 

느릿-느릿 느리다세계어 고찰

 

 

이제 ㅄㆁ 의 ㆁ에서 ㄱ/ㄷ이 주로 나타나고 동시에 ㄴ으로도 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느리다의 ㄴ 은 느릿-느릿 느리다이고, ㄱ은 꾸물-꾸물이고, ㄷ은 ㄷ-ㄷ의 더디다입니다. ㅅ은 -이고, 한자어는 서서(徐徐)이니 우리말 그대로 한자어인 것입니다. ㅅㆁ이 ㅈ/ㅊ 되어 천천히가 되는 것입니다. 영어 단어는 ㅅ에서 slowly이고, ㅼ의 steadly 이고, ㄱ의 gradually인 것입니다. ‘꾸물-꾸물의 ㄱ을 영어 단어에 맞춘다면 gradually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말에 영어 단어를 적어 보자면 slowly-slowly-slow인 것입니다. 의미가 조금 추가되면 살며시가 되고, ‘살금살금이 됩니다. 특히 슬슬/서서히에서 살며시되는 변화 중에 두 번째 초성 ㅁ 이 나타납니다. 우리말에 대응하는 서양어의 ㅂ/ㅁ 의 형태가 우리 안에도 갖추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게다가 살금살금의 동의어로 가만-가만이 있고 ㅺ이 ㅈ되어 조용-조용이 되는 것입니다. ‘가만히의 두 번째 초성에도 ㅁ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어 단어 のろのろ[노로-노로]는 우리말 느릿-느릿그대로이고, 중국어 만만慢慢은 바로 우리말 가만-가만만만임을 알 수 있습니다. 원래 중국 고어는 가만-가만이었다가 ㄱ-ㄱ을 잊어 버리고, -ㅁ 의 -만 남은 것입니다. 티벳어는 ㄱ의 표현으로 남아 있는데 우리말 꾸물-꾸물카페-코페입니다.

 

-복습-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129>>

 

ཁ་ཕེ་ཁོ་ཕེ [kha f phe f kho f phe f/f f f f]=꾸물거리는, 꾸물꾸물, 느린 모양

 

문자 상 소리 표기:[ kha phe kho phe/카 페 코 페 ]

 

 

 

먼저 문자부터 고찰해 보겠습니다. 우리 한글 ㅂ 비슷한 은 타자 위치로 P에 배당된 티벳 문자인데 소리 표기는 [ph]입니다. 우리말 구물-구물에서 ㄱ-ㅁ에서 ㄱ이 ㅋ 되고, /ㅂ 다음 ㅍ 됩니다. 2개 초성 모두 정확한 변음의 흐름대로 나타나고, 특히 의 종성 ㄹ이 탈락된 형태도 있습니다. 또한 동사로 표현하는 방식도 우리말 방식과 완전 동일합니다.

 

 

 

ཁ་ཕེ་ཁོ་ཕེ་ བྱེད [kha f phe f kho f phe f yew/f f f f ]=꾸물거리다, 꾸물럭거리다

 

문자 상 소리 표기:[ kha phe kho phe byeda/카 페 코 페 붸다 ]

 

 

 

우리말이 꾸물꾸물‘-하다를 붙이 듯이 정확하게 ‘-붸다를 붙여 동사형으로 만든 경우입니다.

 

----------------------------------

 

다음 인도유럽어족의 표제어에서 꾸물-꾸물을 다시 재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다음 이제 ㄱ이 ㅋ 변한 자료가 나옵니다.

 

 

 

Wörterbuch der Indogermanischen Sprachen

 

Dritter Teil:

 

Wortschatz der Germanischen Spracheinheit

 

by August Fick with contributions by Hjalmar Falk,

 

entirely revised by Alf Torp in 1909.

 

 

 

 

 

 

36

 

kruk, kreukan krauk= sich krümmen, kriechen.

 

 

 

sich krümmen구부러지다이고, kriechen[크리헌]기다입니다. 우리말 ㄱ이 ㅋ 으로 나타나서 2마디의 kreukan krauk[쿠로이칸-크라우쿠]가 되고, 1단어의 kruk[크룩]이 도는 것입니다. sich krümmen의 경우는 구불-구불구부러지다에 해당하고, kriechen의 경우는 꾸물-꾸물기다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krup, kreupan kraup= sich krümmen, kriechen.

 

 

 

다음 우리말 구불-구불꾸물-꾸물의 두 번째 초성 ㅂ/ㅁ 이 ㅍ 되어 고대 게르만어에 나타난 자료입니다. kreupan kraup[크로이판-크라우프]인데 원래는 구불-구불꾸물-꾸물이었습니다. 우리말도 고대 게르만어를 참고하자면 굴불-굴불꿀물-꿀물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꾸물-꾸물의 ㄲ은 ㅺ 이었으니 ㅅ에서 --기다가 나오는 것입니다.

 

 

 

 

 

37

 

(krub) =sich krümmen, sich zusammenziehen.

 

 

 

표제어에 krub[크루브]는 우리말 구불의 흔적이 남은 표현입니다.

 

 

 

 

 

 

'말글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ㄴㅎ-ㄴㅎ  (0) 2023.01.15
ㄴㅍ-ㄴㅍ  (0) 2023.01.15
나, 너, 사랑해.  (0) 2023.01.15
제 연구 고대 한국어=갑골 한자어  (0) 2023.01.14
스와힐러어에서 우리말이 거의 그대로라면?  (0) 2023.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