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한자어 복습

2021. 7. 10. 16:53언어와 유전자학

초 고대 한자어 어순이 주어 목적어 동사 순으로 현 한국어 어순이었을 것이라는 논증입니다.

-세계 최초 일 것입니다.-

 

먼저 고전 속 ‘~이다구조는 현 한국어 어순임을 찾아 증명 하였습니다.

 

(복습)

 

 

 

아래 문장은 고전 중국어 문법 강의, 에드원 풀리블랭크 지음/양세욱 옮김, 궁리, 54의 자료입니다.

 

12 차문왕지용야(此文王之勇也)(맹자 1/3)

이것이 문왕의 용기였다.

This was King Wen’s courage.

 

14. 개고성인야(皆古聖人也) (맹자 2 /2)

그들은 모두 옛날의 성인이었다.

They were all sages of old.

 

 

맹자에 나오는 이 구절들은 현 한국어 어순의 한자어 구조입니다. 이미 여러 개를 말씀 드렸습니다. 심지어 제한적이지만 목적어가 들어간 문장도 한국어 어순입니다.

 

 

아래 자료는 고전 중국어 문법 강의, 에드원 풀리블랭크 지음/양세욱 옮김, 궁리, 170~172

나옵니다.

 

232 융적시응(戎狄是膺)(시경 300/4)

융과 적, 그들을 진정시키다. (=膺戎狄)

The Rong and Di, them he repressed.

 

*보시다 시피 목적어 융과 적, 그들을다음 동사서술형 진정시키다가 이어지는 우리말 구조입니다.

 

 

237 부자지위야(夫子之謂也) (맹자 1 /7)

(그 시는) 선생님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It (the poem) refers to you, sir.

 

* 목적어인 선생님을이 앞에 오고 서술어인 지칭하다가 뒤에 오는 한국어 어순입니다.

 

240 여필신시조(余必臣是助)(좌전 소공 22/2)

나는 반드시 신하, 이들을 도울 것이다=나는 반드시 신하들을 도울 것이다.

I certainly subjects them help=I will certainly help my subjects.

 

* 주어 나는다음 목적어 신하 이들을다음 서술어 도울 것이다구조를 가진 우리말 순서입니다.

 

 

 

이렇게 현 고전에도 분명한 한국어 어순이 들어가 있지만, 한자어 어순 형성 이전에는 더 우리말의 영향이 강하여 빈도로 보아 한국어 어순(주목동)에 따른 문장들이 더욱 많을 것이라는 제 주장입니다.

 

그런 주장을 더욱 뒷받침하는 것이 제가 세계 최초로 찾은 종성 우리말 ㅀ 과 한자어 ㄹㆆ 과의 관계입니다. 좀 길지만 다시 게시하겠습니다.

 

 

(옛 한자음 고찰)

 

ᅙᅵᆶ , 월인천강지곡 처음

 

이란 현재 한자음이 나오기 전 ᅙᅵᆶ인데, 초성 ㆆ 은 우리말 ㅎ 의 다음 단계임을 문자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받침도 우리말 고대 표준 받침 ㅀ에서 ㄹㆆ 된 것이니, 역시 우리말 다음입니다. 현 우리말은 /하나인데 원래 한국어와 한자어는 모두 ᄒᆞᆶ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ᄒᆞᆶ에서 ’-->‘ᅙᅵᇙ’--->‘ᅙᅵᆯ’ --->‘변화를 거쳤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고조선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참조>>

 

 

 

3. (옛 한자음 고찰)

 

우리말 종성 ㅀ 이 한자음에 ㄹㆆ 나타나는 경우

 

 

세계 최초로 우리말 종성를 찾고 그에 따라 한자음 ㄹㆆ이 나왔다는 것을 <<고조선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116>>에서 발표하였습니다.

 

치ᇙ, ᅌᅯᇙ, ᅀᅵᇙ, ᅌᅯᇙ, 구ᇙ, 져ᇙ, 뿌ᇙ, 씨ᇙ

七 月 日 曰 屈 節 佛 實

 

 

월인천강지곡(소학사)에 더 많은 자료가 들어 있습니다.

 

(), (), ()ᅙᅵᆶ, 치ᇙ, 로 나타나니 우리말 종성 ㅀ 다음의 후손 언어임을 알 수 있는데 월인천강지곡에 자료들이 더 있습니다.

 

1) 종성에 ㅀ 혹은 ㄹㆆ 이 있는 경우

 

16에 보살(菩薩)뽀사ᇙ이라 표기하여 사ᇙ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8에 기ᇙ()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9에 사월팔일(四月八日)ᄉᆞᅌᅯᇙ바ᇙᅀᅵᇙ로 나타나니 ㄹㆆ이 종성으로 모여 나타납니다.

21에 발원(發願)버ᇙ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25에 발()바ᇙ로 표기하니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30, 36, 146에 출()로 표기해서 우리말 그대로 한자어 종성 으로 나타납니다.

32에 실달(悉達)시ᇙ따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33,46,47에 별()벼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35에 밀()미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39, 93에 달()따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49에 말()마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55에 설()ᄉᆑ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58에 불()부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ᅙᅳ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64에 솔()소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66에 필()비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92에 열()녀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98에 갈()꺼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ᅙᅳ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99에 술()이라 표기해서 이 우리말처럼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04에 월()ᅌᅯ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06에 실()씨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18에 걸()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27에 갈()꺼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28에 발()버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46에 설()셔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71에 실()시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76에 발()빠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류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81에 찰()차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82에 굴()코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 ‘’ ‘’‘’‘’‘’ ‘/등으로 나는 모든 한자어는 원래 우리 종성 ㅀ에서 ㄹㆆ 된 후 ㄹ 로 남은 것이니, 모든 한자어의 어원이 고대 한국어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종성 변화는 에서 ㄹㆆ되고 주로 로 남게 된다는 것을 정확하게 많은 단어들로 증명하는 자료입니다.

 

 

그러면 현재 한자음 종성 ㅇ 은 바로 우리 말 종성 에서 ㄹ 탈락 후 ㅎ 이 ㅇ 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예로 , , , , , , , , 등입니다.

<< 고조서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참조>>

 

 

2) 초성에 ㆅ과 ㆆ, ㆁ 이 있는 경우

 

3에 원()ᅙᅯᆫ이라 표기해서 ㆆ을 초성으로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5에 후()ᅘᅳᇢ이라 표기해서 ㆅ을 초성으로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종성의 ㅱ 도 ㅎ 의 변음 중 하나입니다.

6에 혜()ᅘᅰ라 표기해서 ㆅ을 초성으로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ᅌᅯᆫ이라 표기해서 ㆁ을 초성으로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이렇게 한자음이라는 것이 원래 우리말에서 나온 언어임을 종성 ㄹㆆ과 초성 등을 통해 명확하게 밝혔습니다. 세계 최초로. 이는 고대 한국과 고대 중국 사서가 한국 배달(동이)족에 의해 인류 문명이 창조되었다는 사실을 언어학적으로 입증한 자료입니다.

 

----------------------------------------------------

(보충 증거)

이덕일의 한국통사, 다산북스, 43

 

<< (중략) 앙소문화-->용산문화-->()문화는 모두 동이족 문화이다. ()문화는 하남성 안양현 후강유적이 중심으로 서기전 4000~서기전 1100년의 유적이다. 즉 동이족 국가인 상은 앙소문화와 용산문화를 계승했다고 중국 고고학의 아버지가 말한 것이다.>>

 

-------------------------------------------------------------------

 

 

이번에는 잘 아시는 훈민정음으로 증명하겠습니다.

훈민정음에서 찾은 ㄹㆆ 과 종성 ㅇ 의 암시

 

 

우리말 종성 ㅀ 이 한자음에 ㄹㆆ 나타나는 경우

 

 

세계 최초로 우리말 종성를 찾고 그에 따라 한자음 ㄹㆆ이 나왔다는 것을 <<고조선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116>>에서 발표하였습니다.

 

치ᇙ, ᅌᅯᇙ, ᅀᅵᇙ, ᅌᅯᇙ, 구ᇙ, 져ᇙ, 뿌ᇙ, 씨ᇙ

七 月 日 曰 屈 節 佛 實

 

 

이번에는 훈민정음 앞에서부터 찾아 봅니다.

 

()부ᇙ로 표기하여 ㅀ에서 나온 ㄹㆆ 임을 알 수 있다.

()ᅀᅵᇙ로 표기해서 ㅀ에서 나온 ㄹㆆ 임을 알 수 있다.

()버ᇙ로 표기해서 ㅀ에서 나온 ㄹㆆ 임을 알 수 있다.

()쎠ᇙ로 표기해서 ㅀ에서 나온 ㄹㆆ 임을 알 수 있다.

()벼ᇙ로 표기해서 ㅀ에서 나온 ㄹㆆ 임을 알 수 있다.

()비ᇙ로 표기해서 ㅀ에서 나온 ㄹㆆ 임을 알 수 있다.

()ᅙᅵᇙ로 표기해서 ㅀ에서 나온 ㄹㆆ 임을 알 수 있다.

()벼ᇙ로 표기해서 ㅀ에서 나온 ㄹㆆ 임을 알 수 있다.

 

 

다음 암시는

종성에 ㅇ을 붙여 고대 음가를 암시하는 표기입니다.

-->ㄹ 탈락, --->

 

<<고조선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참조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ᅌᅯᇙᅙᅵᆫ쳔강지콕(月印千江之曲)’에서는 세()라 표기해서 원래 종성에 소리가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ᅌᅥ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ᅌᅯᇙᅙᅵᆫ쳔강지콕이라 표기해서 원래 종성에 소리가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ᅘᅩ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ᅌᅮ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ᅀᅵ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ᅌᅴ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ᄎᆞ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ᅀᅵ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ᅌᅯᇙᅙᅵᆫ쳔강지콕(月印千江之曲)’에서는 이()ᅀᅵ라 표기해서 원래 종성에 소리가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ᄍᆞ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使)ᄉᆞ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ᅙᅥ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ᅀᅵ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ᅀᅧ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ᅌᅡ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ᄍᆞ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ᅘᅡ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ᅌᅯᇙᅙᅵᆫ쳔강지콕(月印千江之曲)’에서는 무()라 표기해서 원래 종성에 소리가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현 중국인들의 조상들은 사실상 고대 한국인의 언어와 문화를 바탕으로 생성된 것이고 현 중국은 또 하나의 한국일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