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싸다=swathe

2021. 4. 28. 17:303마디 9초성 영단어장

감싸다 고찰

 

감싸다의 영어는 swathe입니다. ㄱ 탈락 후, ㅅ 의 swathe입니다. ㄱ은 cover 가 됩니다. ‘감싸다, 가리다가 바로 coverguard 입니다. 우리말로는 꾸러미가 됩니다.

 

한자어로 쌀 포()’인데 영어는 fold 가 되고 감아 안으로en을 붙이면 enfold 가 됩니다. ‘감아 안으로en 과 포()velop를 붙이면, envelop 가 됩니다. 우리말에 ㅂ 없는 듯이 보이지만, ‘보듬다입니다. 그러니 한자어가 들어갔다고 하는 보따리, 보자기는 모두 우리말에서 나온 것이고

ko.dict.naver.com/#/entry/koko/eb5f3675d3ed49689eca8cb8a3a0533e

더 확실한 증거는 꾸러미의 옛말 ᄢᅳ례에 있습니다.

 

여기서 ᄢᅳ례꾸러미되는 경로는 꼬리말에서 고대 음가로 되돌아가는 현상으로 원래는 ᄢᅳ러ᄒᆡ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ㅴ 의 초성 원조임을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ㅂ에서 보듬다, 보따리, 보자기’, 한자어 포(), 영어 fold 가 나온 것이고, ㅅ에서 싸다’, swathe 가 나온 것이고, ㄱ에서 가리다, 감추다, 꾸러미가 나오고, 영어 cover, guard 가 되는 것입니다. 좀 까다로운 swathe, enfold, envelop 도 쉽게 기억할 수 있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