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 고찰

2020. 11. 7. 17:42언어와 유전자학

떡 고찰(복습과 추가)

 

ko.dict.naver.com/#/entry/koko/9a6ee071d9214cce80c66615c2e13367

ᄯᅥᆨ,

 

평북 방언에 '시더귀' 라 하니

ko.dict.naver.com/#/entry/koko/fd182c0ae47c4e9ebb56b9c06cf1d011

이 분리된 것입니다.

 

 

한자어로

'떡 병()' 에서 은 병이되고 , 한국어에서는 송편이나 절편의 편이 됩니다.

물론 초기 떡은 기장떡이었을 것입니다.

 

에서 은 다시 되어 찌다, 찔 증()이 되는 것이고

만 시루(옛말은 시르)가 됩니다.

 

 

 

떡 둔(광대벼 순) 으로 새기는 한자어는

hanja.dict.naver.com/hanja?q=%E8%82%AB&cp_code=0&sound_id=0

에 맞춘 단어이고,

 

떡 고()’ 가루떡이니 가루에 맞춘 입니다.

-이라 보아도 될 듯 합니다.-

 

그래서 영어 cake 이 되고,

pie

 

 

 

 

 

'언어와 유전자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섭다, 두렵다, 섬득하다, 끔직하다  (0) 2020.11.07
딜그릇 고찰  (0) 2020.11.07
ㅄㄱㄷ  (0) 2020.11.07
ᄩᅥ디다  (0) 2020.11.07
ᄩᆞ다, 탈 탄(彈)  (0) 2020.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