ㅄㄱ과 ㅄㄷ 고찰
2020. 5. 10. 14:45ㆍ환국대동훈민정음
훈민정음에 ㅄㄱ의 꿀, 끼니
ㅄㄷ의 때가 나옵니다.
이 초성 3개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하면
입술에서 ㅂ/ㅁ
이빨 소리 치음 ㅅ--->ㅈ/ㅊ
어금니 아음 ㄱ
혓소리 설음 ㄷ ---->ㅌ
이렇게 입술에서 순차적으로 안으로 들어가니,
목구멍 후음이 들어가면 최대치가 됩니다.
ㅄㄱㅎ/ㅄㄷㅎ
혹은 굉장히 어렵지만,
ㅄㄱㄷㅎ
이론상 가능하다고는 봅니다....
꿀의 경우
ㅄㄱ에서 순음 ㅂ이 ㅁ 되면 밀(蜜)
ㅂㅅㄱ에서 원래 ㄱㅎ 이었다면 ㅎ의 honey 가 됩니다.
돌의 경우
ㅄㄷ에서 ㅂㅎ은 바회--->바위
ㅅㄷ은 Stein/stone
ㅅ은 석(石), ㄷ은 돌, 티벳어 [(ㄹ)도]
달의 경우
ㅄㄷ/ ㅁㅅㄷ 에서 ㅁ 의 Mond/moon
ㅅㄷ에서 ㅊㄷ 의 힌두어 찬달
ㄷ의 우리 옛말 ᄃᆞᆯ, 티벳어 달
ㅄㄷㅎ의 초성 생략 월(月)
곰의 경우
ㅄㄱ에서 ㅂㄱ에서 ㅂ은 bear, ㄱ은 곰
ㅂㄱㅎ의 생략 웅(熊)
'돌다' 의 경우 ㅂ 은 '빙빙 돌다' 에 남아 있습니다.
'환국대동훈민정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려울 구, dread (0) | 2020.06.10 |
---|---|
뫼 산, 물? (0) | 2020.06.07 |
달이 동그랗고 또렷하다 (0) | 2020.05.09 |
훈민정음 쌍자음과 티베트어 소리 비교 (0) | 2020.05.07 |
달인가? 돌인가? (0) | 2020.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