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 3. 13:16ㆍ언어와 유전자학
저 본인이 전쟁하기 위해 산을 넘은 것이 아니라
환국의 자손들을 모두 찾기 위해
흰말을 타고 넘었습니다.
무슨 말이냐 하면,
뫼 산에 ㄱ 음가가 초성에 오는 단어를 만나면 그냥 다른 언어라 여깁니다.
대표적으로 러시아어입니다.
https://dict.naver.com/rukodict/#/entry/ruko/83a631b13b7d4c5d8930b8ba078774b2
뫼산에서 ㅁㅎ이 원 출발 언어이니,
ㅁㅎ에서 ㅁ 생략 ㅎ에서 ㄱ 음가가 나오게 됩니다.
종성ㅀ에서 ㅎ 생략 ㄹ 입니다.
이 ㅁ 은 꼭대기 정점이란 단어에 ㅁ이 ㅂ 되어 나타나는데
верх[베르흐]
https://dict.naver.com/rukodict/#/entry/ruko/6e31bb570b714f558c85a9a4c4f12d51
ㅀ에서 르흐가 되어 정확히 지금도 '꼭대기'란 뜻으로 사용됩니다.
게다가
스웨덴에가면,
독어는 Berg[베르크]가 됩니다.
스웨덴에 '작은 산 kulle[쿨레]'가 있습니다.
https://dict.naver.com/svkodict/#/entry/svko/da50285702f045fe9b94cc31d2d650c8
우리말에서 뫼산 꼭대기가 서로 교차되어 러시아어에 나타난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말은 ㅁ이 ㅂ되어 봉오리가 되고
영어는 vertex 로 정점이고, 꼭대기의 ㄷ이 top 인 것입니다.
꼭대기의 ㄱ은 어디있나요? 늘 사용하는 말, 클라이맥스 climax 의 ㄱ 입니다.
이렇게 ㄱ 이란 산을 넘어 환국의 자손들을 모두 찾게된 예언
실현서입니다.
'언어와 유전자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이 프랑스에서 감춘 비밀 (0) | 2020.01.03 |
---|---|
한국어와 프랑스어 (0) | 2020.01.03 |
천산이 먼저인가 한반도가 먼저인가? (0) | 2020.01.03 |
한국어와 게르만어 고찰 (0) | 2020.01.03 |
좋다가 있는 영어는? adore (0) | 2020.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