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증언
2019. 12. 27. 21:29ㆍ고대 한국어=히브리어
즉 다시 말하자면,
우리 신석기 초입
2만년 즈음 부터 서남해에 물이 들어오자,
바닷물 수위에 따라
시기 별로
부족 별로 서양으로 전 세계로 흩어집니다.
그 중 히브리 민족이
지금 이스라엘 라푸텐 문화를 형성하는데,
바람, 불다 를
당시에는
블흠, 븛 이라고 했습니다.
그 후 세월이 흐르면서
ㅂ이 ㅍ 되고 파아흐 [pa ah]가 되고
https://dict.naver.com/hbokodict/ancienthebrew/#/entry/hboko/78b6e6acf5de4fcc86f10df2e2ff825e
ㅎ 은 생략되어 '파아' 가 됩니다.
지금 까지 제가 주장한대로
한자어
풍(風)이고 받침이 ㅎ 이면
'풓' 인 단어입니다.
히브리 그냥 한족이란 뜻입니다.
그 후 나라의 국경선이 그어지니
이동이 제한 되고 농경 정착 생활이 강화되면서
언어도 원형은 사라지고
각 나라별로 흩어집니다.
다만 위대한 역사서 '환단고기',
그리고 서양의 '성경'에 그 희미한 흔적 만 남습니다.
바벨탑 이전에 인류의 언어는 하나였다.
제가 그 언어를 누구나 알 수 있게
하늘 자손으로
당당하게 전 세계와 우주에 증명했습니다.
이렇게 위대한 인류의 예언은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정말 개벽이 눈 앞에 나타나 놀랍지예?
이젠
식민사대 의식은 그만 두시겠지예?
'고대 한국어=히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베사르 (0) | 2019.12.28 |
---|---|
사랑--->하싸드 (0) | 2019.12.27 |
바람 불다, 풍---->파아 (0) | 2019.12.27 |
눈 고찰 ㅅ눈 --->쉬레그 (0) | 2019.12.27 |
흰 백-->합바르 (0) | 201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