싹--->셀라흐
2019. 12. 26. 11:34ㆍ고대 한국어=히브리어
싹--->셀라흐
שֶׁלַח
우리 옛말은 '삯' 으로 나타납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10be48d5e514a6f8a2e36d0cede4a70
현재 ㅆ 이니 ㅅㅎ 이었다고 보는 것이고,
그대로 히브리어에 sh 로 나타나고, 한자어에 순(筍)인데 대나무 싹을 특별히
말합니다.
심지어 영어도 sprout, shoot 로 정확히 남아 있습니다.
sh-의 h 가 p 되면 sprout 가 되는
것입니다.
초성이 모두 사라져
우리말에 움이 있듯이 한자어는 싹 아(芽)이고,
맹(萌)은 ㅎ이 ㅁ 된 것입니다.
특히 ㅀ이 히브리어에 그대로 나타나 '-라흐'가 됩니다.
#
결국 초성 ㅅ 도
중요하지만,
종성 ㅀ의 이치를 알고
다른 후대 언어에서는
늘어진다는 것을
알아야 하는 것입니다.
'고대 한국어=히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은 어디에? (0) | 2019.12.26 |
---|---|
머리-->머으흐 (0) | 2019.12.26 |
벗=하베르 (0) | 2019.12.26 |
누이--->느자르흐 (0) | 2019.12.26 |
아우--->아흐 (0) | 2019.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