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와 duck , 소와 cow, ox

2019. 7. 19. 14:28언어와 유전자학

처음 영어와 만나면,


오리는 duck 이고, 소는 cow, 말은 horse 로서 누구나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최소 K2 3만년전 부터 분리 되었으니 그렇습니다.


하지만 오리 압(鴨),

원래 우리 말은 '올히', 즉 '옳' 이 원어이고 ㅎ이 ㅂ 되면 한자어가 됩니다.


영어를 고려하자면,

'돓/돌히'가 첫 표현입니다.

혹은 'ㅂ돌히' 이라고 보아도 됩니다.


우리말은 '닳-->닭' 과 '올히-->오리' 로 분리 되고


영어는 ㄷ에서 duck, ㄷㅎ 에서 ㄷㅎ 이 ch-되어 chicken 이 됩니다.


ㅎ 은 hen 이 되기도 합니다.



힌두어로

오리는 बत्तख[battakh][바땈흐]입니다.

https://dict.naver.com/hikodict/#/entry/hiko/23878c72c2494c3d8ba9e679c8ce3104


즉 영어 duck 앞에 ㅂ 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소도 원래는

'ㅅ곯'인데 ㅅ만 남은 한국어 소, '곯' 부분이 cow 가 됩니다.

  


독어는 Kuh[쿠흐],

종성 ㅀ에서 ㅎ 이 정확히 남아 있습니다.


ㅄ이면,

ㅂ이 ㅇ 되니, 일어 우시 ushi, 한자어 우(牛), 한자어 소 사(㸻)도 있습니다.


말의 경우는

ㅁ 그대로 한자어 마(馬),

역시 고대 표준어 '맗' 에서 우리말 '말'이 되고 한자어 '마' 가 됩니다.



몽골어는 우리말 풀어

морь[모리],




ㅂ맗 이니 일어로 '우마' 입니다.


ㅁㅎ이니 ㅎ에서 horse ,

ㅁ은 pony(조랑말)

독어는 ㅍ 이 되어 Pferd[페르드]



'ㅂ맗'이 고대 표준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힌두어 घोड़ा[ghoda], 힌두어에 아래 점도 ㅎ 종류의 하나이니 ㅀ이 이렇게 아직 문자로 남아 있습니다.


ㅁㅎㅎ 에서 ㅁ 은 사라지고 ㅎㅎ 이 gh 가 됩니다.


즉 첫 힌두어는 mghorx 이었고 m 탈락 후 ghoda/ghora 가 된 것입니다.


영어는 mg 모두 탈락 후

horx 에서 horse 가 됩니다.





타밀어


குதிரை[Kutirai][쿠티라이]
처음엔 누구도 '맗'과 동어원임을 모릅니다.

mghorx 에서 m 탈락 g가 k 되고 모음 첨가 부분이 달라지고 h 가 t 되고 rx 가 rai 된 것입니다.


같은 드라비다어족 칸나다어입니다.


ಕುದುರೆ[Kudure][쿠두레]

h가 d 되고---> t 되는 것 뿐입니다.



라틴어 equus[에쿠우스]

https://dict.naver.com/lakodict/#/entry/lako/1f8cc307654b4713930b30b44a632a55


ㅁㅎ 이 ㅇㄱ 된 것입니다.

'언어와 유전자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O2 와 O3  (0) 2019.07.19
그래서 한글의 이치를?  (0) 2019.07.19
나는 누구일까요?  (0) 2019.07.19
티벳 자음 결합   (0) 2019.07.19
훈민정음 모음 갯수의 의미   (0) 2019.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