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형 거주지 추정
2019. 3. 1. 10:05ㆍ강의
거주지 추정해 봅니다.
해수면: 네이버 블로그 Kyeongnam Haplogroup 동아고고학 참고
해수면 만 2천년전 위치 참조해서
8만-7만년전 해수면이라 추정
빙하로 인해 제주도 앞 영토가 넓어짐
다시 빙하가 풀리고 바닷물이 점차 '한라랜드'에 들어옴
위 그림은 마지막 빙하기 (2만-만 8천년 전후) 최고 해수면 추정치입니다.
엄청난 빙하기를 지나갔으니, 그 빙하가 녹는 양도 엄청나고 속도는 좀 빨랐을 것입니다.
그래서 마지막 빙하기 보다 2-3배는 더 많은 얼음 양이 녹았을 것입니다.
한중일 해안 동굴 정착지 사람들은
살기 위해서
티벳이나 한중일 고산지대로 대피했다고 보는데,
티벳과 산 부족에만 현재 나타났으니, 위 화살표를 만들었습니다.
마지막 빙하기 보다 그 정도가 최소 2-3배 일 것이니, 얼음양도 마지막 빙하기를 기준으로 바닷물 상승을 더 추가해 보았습니다. 위 그림 보다 해수면이 더 상승해서 한중일이 모두 바닷물 아래에 있었을 수도 있습니다. 즉 한반도의 경우 개마 고원과 백두대간 산들이 섬이 되었던 시기가 있었을 가능성을 추정해 보는 것입니다.
제 추정이 혹시 맞다면,
한반도의 CT나 CF 는 북한에 있을 것입니다.
물론 역사 시대 남북 이주가 여러번 있었으니, 한반도 어디에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바닷물이 물러나자
한반도 주변으로 C 와 D 가 돌아오고,
E 와 F 는 유럽으로 분리됩니다.
'강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의 순다어는 차이, 티벳어는 추, 한자어는 수 (0) | 2019.03.01 |
---|---|
C-M130 집중도 (0) | 2019.03.01 |
앞에서 추론 했다시피 (0) | 2019.03.01 |
필리핀을 거치지 않고 대만을 지나 한반도와 일국으로 (0) | 2019.02.28 |
참고로 C 는 ? (0) | 2019.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