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과 유전학의 결합

2019. 2. 20. 11:52강의

1. 이제 우리 한반도 본향 C,D 에서 갈라진 일국과 티벳을 보겠습니다.


 C,D 를 잘 유지한 일국 부족은 '아니누 족' 입니다.


D형은 주로 일국 동부와 티벳 고산 지대로 분리 되었습니다.

일어의 일인칭은 고대 일어에서 '나' 였을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티벳어를 보면 '나' 를 '나' 라고 합니다.


https://daesabuna.blog.me/100021008631



우리말 순서입니다.


2. 다음 드라비다 어족의 고대 파키스탄, 현 인도에 H형으로 나타납니다.


http://blog.daum.net/daesabu/18317123


타밀어에 보면 분명히 종성 ㅀ 의 흔적이 남아 있어

고대 한국어 일인칭은 '낧' 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자어 아(我)는

낧 -->날-->나-->아 , 이런 음가 순서상에 있습니다.


3. 유럽어 이히와 아이 도 마찬가지입1니다.


낧-->날히-->나히--->이히(독어 Ich)/ 아이(영어 I)



4. 우리말 종성 ㅀ 은 주격에서 '난'의 'ㄴ', '은/는/가' 로 분파됩니다.  



'강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벵골어 '아미'란?   (0) 2019.02.20
타고르 고향 콜카타   (0) 2019.02.20
T 를 빼면 정확한 흐름이 나옵니다.   (0) 2019.02.18
F에서 I까지   (0) 2019.02.17
C와 D,그리고 D 의 이동   (0) 2019.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