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 포
2018. 9. 29. 12:51ㆍㅂ에 따른 영어와 유럽어
베 포(布)
=hemp cloth
ㅂ 이 ㅎ=hemp cloth
짜다=weave
이것이 베짜다, ㅂ 이 w-
모시
분명 우리말입니다.
https://ko.dict.naver.com/detail.nhn?docid=13631100
한자어 시(絁), 모시의 시 그대로
영어 ramie fablic, ramie cloth
ramie 는 모시의 ㅁ 앞에 ra- 이 나간 것
즉 '몷히' 에서 ㅀ 이 앞에 니간 것이 ramie
역시 여름용 옷감을 만든 것도 고대 한국인이 처음이라는 것입니다.
추론: ㅁ 에서 ㅂ으로 가니
베란 포괄적인 표현도 원래는 모시에서 나왔을 것입니다.
반대로 베에서 모시로 가더라도 크게 문제될 것은 없습니다.
베의 ㅂ에서 ㅍ이니, 우리말에서 한자어가 나오고
우리 문물이 한자어가 된 것은 분명합니다.
다음 ㅂ에서 ㅎ으로 가니 서양어와도 마찬가지입니다.
옷--->의복
베--->포
모시--->시
삼베=Burlap
삼베(무명)=batis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