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림토 1,2 획의 원리 훈민정음 단서
2018. 9. 24. 21:07ㆍ환국대동훈민정음
훈민정음에서 가림토 가획 원리 단서
ㅣ 은 1획 '이' 를 표현,
현재는 '는'으로 표현되지만, 중세 조선에는 '이' 였을 것 ,
ㅅ 은 2획으로 소유격을 표현 , 즉 '의' 이니 2획을 ㅅ 으로 표현 한 것
http://blog.daum.net/daesabu/18297977
여기서 ㅣ 과 ㅅ 은 한자 다음 토를 단 것인데,
이는 현재 구결 문자로 나타났습니다.
고대 한글이 처음에는 한자(고유 상형문자)의 토를 단 흔적이 남은 것이라고 봅니다.
'환국대동훈민정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림토 모음의 새로운 해석 (0) | 2018.09.25 |
---|---|
훈민정음 안의 종성 ㅇ 콧소리는... (0) | 2018.09.24 |
브라미 문자에는 축소된 모음 표식임 (0) | 2018.09.24 |
가림토 모음의 의미 (0) | 2018.09.24 |
가림토 어려운 문자 (0) | 2018.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