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고찰

2017. 7. 21. 09:55환국대동세계어사전

나무 고찰

 

나무를 통해서 종성

ㅎ,ㅇ,ㅁ 의 제 학설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제주 방언은 '낭' 입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7061400&directAnchor=s484489p47578d114195

 

 

 

첫 원어는 '낳' 이었다고 봅니다.

 

 

육지로 오면서

 

낭의 ㅎ 부분이 풀어져서

'낭구' 가 되었습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7064000

 

 

경남에서는 ㅇ 부분이 ㅁ 으로 변하는데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6928400

 

 

남구

 

 

여기서 ㅁ 의 존재가 나타나 '모/무' 가 됩니다.

 

 

그래서 ㅇ 과 ㅁ 사이는 서로 변음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경남에서도 '낭게' '낭개' 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낳(원어)--->낭(제주)--->낭구(강원, 경기, 전남, 충청, 평안, 함경, 황해),

낭게/낭개(경남)--->남구(경남), 남긔(경기)--->받침 ㅁ 이 모/무 로 변하여 무투(평안), 무두(심마니)-->한자어 '목(木)'

 

고산 지대의 심마니어와 평안의 언어를 통해서

 

낮은 초원지대에서 산악 지역으로,

남에서 북으로 진행한 선조들의 흔적을 찾을 수 있습니다.

 

첫 의미는 '높은 존재'라는 것입니다.

'환국대동세계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루치?  (0) 2017.07.21
두더지, 두디쥐?  (0) 2017.07.21
두꺼비 고찰  (0) 2017.07.21
늙다와 젊다 고찰  (0) 2017.07.21
잫 고찰?  (0) 2017.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