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초성의 변음
2017. 5. 16. 21:07ㆍ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91. 초성의 변음
우리말의 ㅂ 음가가 일어에서 ㅎ 으로 갈 수 있다면,
한자어도 마찬가지 일 것입니다.
그래서
바다 해(海)
반디(불이) 형(螢)
불 화(火)
벼 화(禾)
빛날 화(華)
벚나무 화
http://hanja.naver.com/hanja?q=%E6%9E%A0
방울 화
http://hanja.naver.com/hanja?q=%E9%89%8C
받침 종성 ㅎ 에서 찾아도 되겠지만,
초성 ㅂ 의 변음 ㅎ 이라 보아도 크게 틀리지 않을 것입니다.
반디 같은 경우는 '환하다' 란 의미와도 연결됩니다.
빛나다도 마찬가지입니다.
더 나아가
보다--->히--->시 (변음)
별---->혈---->성
밤---->햐--->야(夜)
ㄱ에서 ㅎ으로 간 경우
그림 화(畵)
꽃 화(花)
* 일어로 꽃을 '하나'라고, 코를 '하나'라고 하나 ㄱ 에서 ㅎ 으로 간 경우에
우리 본말에서 일어와 중어가 된 것입니다.
검을 흑(黑)
바람 풍(風)
바람 훙으로도 갈 수 있었지만,
풍이 됩니다.
보람 ---> 표(標)
'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92. 보육? 포육? (0) | 2017.05.16 |
---|---|
91-1 초성의 변음 (0) | 2017.05.16 |
90. 영어독어와 우리말과한자어 비교 (0) | 2017.05.10 |
89. 별 성 고찰 (0) | 2017.05.07 |
88. 순경음 ㅂ과 ㅁ (0) | 2017.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