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3. 19. 16:35ㆍ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77. 열매에 나타난 우리 변음 법칙
우리 옛말과 방언은 우리말의 변음을 살피는 중요 자료이고 확실한 자료입니다.
먼저 '열매'의 우리 표준 옛말은 2개입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7073200&directAnchor=s271929p173920d231061
여름, 열매(편의상 이렇게 표기합니다.)
열매는 여름의 름에서 ㄹ을 첫음에 당겨 온 것입니다.
받침 종성 ㅁ이 둘째음으로 자리해서 '매'가 됩니다.
이제 방언을 살펴 보겠습니다.
1) 매아리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3016300&directAnchor=s133302p392246d457629
분명 '경북' 방언입니다.
열매를 돌린 것입니다.
우리말에서도 잘 나타납니다.
맺은 알맹이=매아리=열린 매=열매
2) 여르매(함북)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6604400&directAnchor=s498273p171183d227306
열에서 늘어져 '여르'입니다.
3) 열음(평안, 함남, 황해)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7105800&directAnchor=s270625p400214d466496
분명히 우리 방언입니다.
'매 부분이 음'입니다.
ㅁ과 ㅇ 은 서로 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실 음(飮), '마가 음'이라는 제 견해를 더 뒷받침 해 줍니다.
우리말 안에서도
서로 도치 '매아리'
늘어져 음가 추가 '여르매'
초성 ㅁ이 ㅇ으로 '열음'
이런 현상은 곧 한자음에 그대로 나타납니다.
'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79. ㅅ과 ㅎ 사이 (0) | 2017.03.19 |
---|---|
78. 범과 호랑이 (0) | 2017.03.19 |
76. 만약 나 아가 아니라 나 농이었다면, (0) | 2017.03.09 |
75. 환국어 받침 ㅎ에서 ㅇ으로 (0) | 2017.03.04 |
74. '콩의 그 증거' (0) | 2017.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