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 환국어 'ㅎ과 ㅅ 사이'

2017. 3. 4. 10:18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71. 환국어 'ㅎ 과 ㅅ 사이'


먼저 우리말을 보면 '형'을 '승' 이라 합니다. 현대 중국어에서 '학생'을 '쉬에성' 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한자어 ㅅ 의 출처는 'ㄹ'뿐만 아니라 'ㅀ' 에서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뭃 ----->마시다 ---->음수(飮水)



산의 옛말은 '뫼' 입니다.


현재 ㅎ 은 보이지 않지만, ㅎ이 한자음의 바탕이 되었다고 보아도 됩니다.




물론 '솟다' '둘러싸디' 도 가장 분명한 증거이고, 심마니의 심도 변음되어 산이 될 수 있습니다.



어려운 음가 변이가 '감 시(枾)'입니다.


의미로 풀지면 '감씨'입니다.



만약 '감'의 첫 음가가 '감ㅎ' 이 었다면, ㅎ 이 ㅅ 으로 변할 수 있으니, 음가 변이로 풀 수 있습니다.  

'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73. 환국어 'ㅎ과 ㅅ , 그리고 ㅈ'  (0) 2017.03.04
72. 환국어 '둏을 호'   (0) 2017.03.04
범 호, 나비 호접의 호   (0) 2017.03.03
배호다 와 학문   (0) 2017.03.03
음수   (0) 2017.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