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황해 고인돌 문화권

2016. 7. 3. 10:49고조선 화폐문과 신석기토기무늬

1. 이형구 교수님의 발해안 문화권, 이미 말씀 드렸습니다.


2. 하문식 교수님의 환황해 고인돌 문화권입니다.



207-208쪽


이 지역에서 조사된 고인돌 유적의 지리적 분포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평안과 황해 지역의 서해안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고인돌 문화가 서해를 거쳐 바다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전파되어 발전하였을 가능성을 일러 준다.



..............................................(중략)



이와 같이, 동북아시아에서는 요령 지역을 비롯해서 황해를 중심으로길림과 한반도에 고인돌이 밀집 분포하고 있으므로, 분포 면에서 보면, '환황해 고인돌 문화권'의 설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이렇게 우리 문화는 황해를 기점으로 발생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제주도의 바닷가 고인돌은 원래 물가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바닷물이 들어 오기전에 구릉이었을 것입니다.


그러니 고인돌의 처음 발생은 청동기가 아니라 배달 신석기라고 잡아야 현 유물과 일치하는 것입니다.


물론 이도 하문식 교수님께서 빗살무늬토기를 톨해서 말씀한 바 있습니다.


배달검(비파형 동검)이 나온 시점은 신석기 시대가 그대로 청동기와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닷물이 들어오기 전의

환배달 신석기 인들이 바닷물에 밀려 고산지대로 올라가면서 고인돌도 나타났다고 봅니다.


제주도 고산리 유적은 만 2천년전 유적으로 구석기에서 신석기로 이어지는 문화입니다.



역시 서해에 바닷물이 들어온 시점입니다.


바닷물이 조금씩 물러나면, 우리 환배달 유적들이 나타나리라 봅니다.



즉 초기 이른 민무늬 토기도 만2천년 전, 아마도 최대 만 5천년전-만 3천년전에 만들었을 것입니다.


고령, 포항, 울주 어른들은 동해 바닷물이 들어오기 전의 바닷가 생활을 하신 분들이고

부산, 김해 어른들은 남해에서 생활하신 분들입니다.


동해안은 이른 신석기 시기 부터 고래 사냥을 했다고 봅니다. 서남해안보다, 먼 바다로 나갈 가능성이 많습니다. 그래서 북두칠성 천문이 필요했습니다.


그러면 내륙 고령은 왜 그런가 하면 농사에 필요했고,

여기서 배달 천분인 문자가 나오게 됩니다.



결국 우리 문화의 시원은 서해안의 고인돌 문화권에서 동으로,

동해안의 배달문화권에서 서로 진행한 문화라고 봅니다.


이는 산동이 섬인 시절과 해안가의 대문구 문화까지 이어졌고,

다음 용산, 다음 하나라, 상나라의 문화 흐름 속에 있었던 것입니다.

'고조선 화폐문과 신석기토기무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녕 개주시 석봉산   (0) 2016.07.03
중국 동이족의 소속   (0) 2016.07.03
ㄹ 의 출처   (0) 2016.07.02
벼냐 大인가?  (0) 2016.07.02
환배달 문명 전파도   (0) 2016.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