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와 철(鐵)의 고찰

2016. 6. 26. 17:20제주경상전라충청강원탯말=>북한산동

쇠와 철(鐵)의 고찰

 

현대나 고대나 첫 물품을 만든 나라의 언어가 기준이 됩니다.

 

중국에서 철(鐵)을 만들었으니 혹은 중간 전달자이니 우리가 한자 ‘철(鐵)’을 사용한다 합니다.

 

 

그런데 쇠 쇠(釗)란 한자가 있음을 모릅니다.

 

이는 쇠가 ‘굉장히 단단하고 세다’ 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니 우리가 쇠를 처음 찾아 만들고

우리말 한음으로 줄여 '쇠'를 만들고 이는 곧 한자어 ‘쇠(釗)’가 된 것입니다.

 

우리 붉은 간 토기에 입힌 ‘산화철’ 염료를 본다면 누가 철을 먼저 찾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심다의 옛말은 '시므다' 입니다. (네이버 사전)

 

'시므'를 줄여 '식'이라 했다고 봅니다.

ㄱ 은 식물 뿌리라고 봅니다.

심을 식(植), 우연히 이렇게 될 수 있을까요.

 

심지어 심다의 경상 방언은 '수무다' 입니다. (네이버 사전)

 

나무 수목(樹木)...

 

과연 우연히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제주경상전라충청강원탯말=>북한산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다에서 산(傘)  (0) 2016.07.01
서울 경?  (0) 2016.06.30
한 방에 정리하는 우리말과 한자음  (0) 2016.06.24
  (0) 2016.06.24
지휘관의 암구호   (0) 2016.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