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림토-갑을 병정
2016. 2. 29. 12:24ㆍ가림토 연구
가림토-갑을병정
일,이,삼,사를 달리 천간으로 '갑을병정'이라 합니다.
천간은 하늘에서 나온 문자라는 것을 다시 확인 시켜줍니다.
甲은 원래 十이 었습니다.
하나이니 생략해서 1 이 됩니다.
乙은 2입니다.
丙에서 회전 후 생략해서 3
丁에서 삼각형 부분이 약간 달라져서 4
http://www.chineseetymology.org/CharacterEtymology.aspx?characterInput=%E4%B8%81
丁은 원래 ㅁ 하늘, ㅇ 하늘에서 심지어 삼각형 하늘도 되어 결국 丁이란 문자가 된 것입니다.
모두 하늘 우리 천문에서 나왔다는 것을 또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 숫자가 인도, 아랍을 거쳐 서양까지 간 것도 위 자료를 보면 충분히 알 수 있습니다.
戊己경신임계
원래 己는 여섯째 자리 였지만,
http://www.chineseetymology.org/CharacterEtymology.aspx?characterInput=%E5%B7%B1
다섯째가 되어 5가 된 것입니다.
5 가 우리 ㄹ 이고 한자 己입니다.
이것도 몰랐지예.
세계 최초 증명 아니면, 방명록에 출처 남겨 주세요.
제가 확인하겠습니다.
0 은 하늘로서 너무 크고 높고 깊어 없는 듯 하다
는 것입니다.
天干은 하늘이 방패, 가림이 되어 운행을 한다는 것입니다.
역시 '가림' 사상에서 나온 우리 한자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