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수도-가림화폐문

2016. 2. 15. 00:31첨수도 화폐문 연구

1. 첨수도 종합

 

 

 

이는 모두 가림의 그물문에서 나온 문자로 ㄱ,ㄴ,ㄷ,ㅅ,ㅇ,ㅂ 과 같은 현대 한글 부호가 들어 있고 상형의 으미도 담긴 것입니다. 이는 신석기 토기에 새겨진 부호에서 출발하고, 토기를 가득 채운 부호를 생략하는 과정에서 나온 글입니다. 이 후에 고조선흐돈(명도전) 시기에 으미 부여를 해서 상형 한글로 진화시킵니다. 특히 ㄱ 부호가 중요한데, 우리 새들 이름과 짐승이름이 다들어가 있습니다.

 

 

제가 무늬를 줄여 '문(文)'이라 하고 한자 '즐문 토기'는 우리말 '줄무늬 토기' 라고 했습니다.

 

 

가리다라는 우리말의 의미를 모두 가진 부호로서 하늘의 보호, 풍요(낟가리), 갈(칼)로 선악을 가리고, 키(혹은 기)로서 알곡을 가리는 모든 이치를 여기 부호들이 보여 줍니다.

 

 

특히 인더스 문자들도 우리 신석기 그물 가림 부호의 영향으로 탄생한 문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위 문자에서 '개, 소, 나무, 갓쓴 허수아비, 뿔'을 찾아라 하면 누구나 찾을 수 있는 상형의 의미가 담겨있기도 합니다.

 

 

이 토기 부호들은 또한 바위 문자에도 거의 유사한 초기 상형문자 부호들이 우리나라 전국에 새겨져 있어

우리의 상형문자 시기를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특히 울주 바위그림을 보면, 각 종 동물들과 사냥꾼, 새, 고래, 그물, 배 등이 새겨진 우리 고대 상형문자로서 그 기원이 아주 오래된 초기 상형문자이기도 합니다.

 

 

2. 신석기 토기에서 그물 풍요 표식 찾기입니다.

 

 

 

 

3. 김해 박물관에서는 X 에 점이 분명한 토기가 있습니다.

 

 

 

 

점은 하늘에서는 별이고, 땅에서는 곡식, 물에서는 물고기입니다.

 

즉 '알'입니다.

'첨수도 화폐문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와 바다   (0) 2016.02.15
이제 증명 단계로...  (0) 2016.02.15
물 먹으러온 짐승들   (0) 2016.02.14
양산 토기 위의 무늬   (0) 2016.02.14
점의 의미?  (0) 2016.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