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갈 착(娕)으로 본 우리말 줏대 의식
2015. 1. 15. 16:16ㆍ국명 흐 의미
삼갈 착(娕)으로 본 우리말 줏대 의식
이미 앞에서 삼갈 착에서 다루고 우리말 착하다에서 나온 한자음이라고 단정을 했습니다.
여기서도 착(娕)을 네이버 한자사전에 보면 의미 2가지 외에 아무런 설명이 없습니다.
1. 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2. 착하다
(네이버 한자사전)
파자해 보면, 여(女)와 속(束)이 나옵니다. 어느 한자음을 따른다면, 여 라 하던지 속이라고 해야 합니다. 그런데 ‘착’음이라 합니다. 여기서 우리말 착하다를 기준으로 발음이 정해진 것이라 알 수 있습니다.
당시 환국 배달 뿐만 아니라 고조선 국력이 중국 여러 나라들을 압도하고 있었기에 눈치볼필요가 없었던 것입니다.
'국명 흐 의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승 (0) | 2015.01.15 |
---|---|
놈 누가 먼저 해석했는지 볼까요? (0) | 2015.01.15 |
심을 조선 고유어라고 본 증거 (0) | 2015.01.15 |
떡의 출처? (0) | 2015.01.15 |
쓰일 需(수) (0) | 201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