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시(卽時)
2015. 1. 9. 21:16ㆍ국명 흐 의미
즉시(卽時)
곧 즉(卽), 어디에서 찾았을까요?
아침의 옛말은 ‘아ㅊ.ㅁ’ 이고 방언으로 ‘아칙, 아적, 아츰, 아즉, 아직’ 이 있습니다.
일찍의 옛말은 ‘ 일즙, 일, 일즉, 일 ㅂ 즉이, 일쯕, 일즛’ 이 있습니다.
공통 분모가 나옵니다.
아침의 아즉
일찍의 일즉
곧 즉(卽)
추가)
네이버 한자 사전을 검색해 보겠습니다.
1. 곧 2. 이제 3. 만약, 만일(萬一) 4. 혹은 5. 가깝다 6. 가까이하다 7. 나아가다 8. 끝나다 9. 죽다 10. 불똥
회의문자
即(즉)의 본자(本字). 먹을 것을 많이 담은 그릇 앞에 사람이 무릎 꿇고 있음을 나타냄. 식탁에 좌정한다는 뜻에서, 전(轉)하여 자리 잡다의 뜻으로 되고, 密着(밀착)하다의 뜻에서, 전(轉)하여 곧, 바로의 뜻이 됨
|
자리에 가접게 앉다 라고 하면, ‘즉’이 나온다고 봅니다. ‘시간이 가접게’ 를 돌려 ‘즉각(卽刻)’이 나오게 됩니다. 각(刻) 한자로서의 의미는 우리말 ‘깎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