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접

2015. 1. 5. 15:19국명 흐 의미

 

 

대접

 

 

우리 겨레의 대접을 보여드리지요.

 

다 아시지요. 국을 담는 큰 그릇입니다. 순 우리말입니다.

 

 

사람을 대접합니다. 음식을 어디에 담지요. 대접입니다.

 

대접에 음식 담아 대접(待接)하고

접대(接對), 접대(接待)가 나오지요.

 

 

대접에 음식 담아

대접(待接)하고,

사람을 접대(接對),

접대(接待)합니다.

 

큰 그릇이니

대접시가 되지요.

 

 

대접의  

대접(大蹀)

 

 

이 나옵니다.

 

 

제가 처음에 한자 접자(楪子)에서 온 단어가 아니라 했습니다.

 

 

우리말 대접에서 나온 접시입니다.

 

 

접(楪)은 꼭 우리말 ‘접시’에서 안 찾아도 평상이란 뜻 외에 접다가 있으니 우리말 그대로입니다.

 

 

접시의 한자는 접시(楪匙)라고 적는데, 역시 우리말 접시에서 나온 한자어이기 때문에 ‘시’에는 匙 숟가락과 열쇠라는 뜻 밖에 없습니다.

 

접시 위에 숟가락이 있어야 하니까요.

 

 

'국명 흐 의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지넙다  (0) 2015.01.05
벼르다  (0) 2015.01.05
깎을 삭(削)  (0) 2015.01.05
덜 감(減)  (0) 2015.01.05
베낄 사(寫)  (0) 2015.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