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王 의 다른 해석
2014. 2. 22. 09:28ㆍ별자리 하늘 한글 자료 저장 곳간
1. 국립김해박물관, 166쪽, 大王이라 읽고 있는 한자지만, 저는 별 자리 중의 페가수스와 물고기 혹은 그냥 별표식이라 말씀드린 적 있습니다. 오늘 자세히 보니 大라 흔히 읽은 문자 옆에 흐르는 물 기호가 새겨져 있습니다. 은하일 수 도 되고, 새도 되고, 뱀도 된다고도 봅니다.
별자리라면 카시오페이아이고, 활로 본다면 오리온 자리입니다.
참고로 한자 대(大)는 상형 문자로서 팔 벌린 사람에서 왔습니다. 역시 팔벌린 오리온 자리 표식이 갑골문에서 大자가 되었다고 봅니다.
2. 왕과 새들
http://blog.daum.net/daesabu/18287540
'별자리 하늘 한글 자료 저장 곳간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짜로 천문과 현대 여러 알파벳까지 (0) | 2014.02.22 |
---|---|
별자리와 부호 (0) | 2014.02.22 |
고대부터 사용된 ㄴ 과 ㄱ (0) | 2014.02.20 |
오리온 자리를 활 쏘는 사냥꾼으로 본 연구와 초신성 폭발 (0) | 2014.02.20 |
미국 인디언들의 하늘 (0) | 201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