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수도 모음은 훈민정음 모음
2010. 12. 27. 09:23ㆍ첨수도 화폐문 연구
二 아래 점, 三아래 점은 곧 훈민정음 장음 표시입니다. 훈민정음에서는 기준을 ㅣ 로 세우고 길이 표시를 점으로 했지만, 원래 길이 표시는 점이 아닌 ㅡ 으로 했습니다. 소리의 길이 표시는 점이 아니라 선이 좀 더 바람직 합니다.
아래 붉은 색 표시 옆에 초록색은 현 한글로 표시한 것입니다.
즉 소리의 길이는 원래 점이 아니라 선이었습니다.
이제 최대공배수를 보시겠습니다.
현재 첨수도 위 문자는 노란선 안입니다.
훈민정음 그대로이면서, 소리 음가가 더 많지요.
왼쪽 부위에 모인 것이 가림토 문자이자 훈민정음 모음이지요.
가림토 모음도 위 최대 공배수 중의 기본적인 모음을 표현하신 것입니다.
또한 점은 ㅣ,2,3,4 로 ㅡ 은 5로, ㅡ 위에 점 갯수에 따라, 7,8,9 二는 10으로 이렇게 숫자로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봅니다. 마야 숫자 방식과 같습니다.
위대한 한글은 이미 고조선 시기에 다 있었습니다.
익산 바위글도 위는 고조선 모음을 표현하고, 아래는 상형자를 표현한다고 봅니다.
http://blog.daum.net/daesabu/18283917
텔레비젼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 정말 좋겠네.
'첨수도 화폐문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첨수도 모음을 훈민정음 모음으로 변환 (0) | 2010.12.28 |
---|---|
칸과 나무 (0) | 2010.12.27 |
점선 모음 첨수도 문자 세부 설명 (0) | 2010.12.26 |
첨수도 모음의 변용 (0) | 2010.12.26 |
첨수도 모음 결합 정리 (0) | 2010.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