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1. 13. 16:08ㆍ첨수도 화폐문 연구
첨수도 위의 문자 초벌 해석
문자가 하나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형자이거나 그 소리의 한 음가를 표현하는 소리문자입니다.
편의상 눈에 보이는 것부터 정리합니다.
1) 해, 길, 칼, 별, 물고기, 중(中), 한(韓, 고조선의 韓을 의미)
2) 문자의 처음으로 [ㄱ이나 ㅋ]에 해당, 낮은 아 음(세종과 같은 원리)이거나 [오]음으로
[코]상형문이자 소리문자로서 [코]나 [카], [구나 쿠], [규나 큐], [ㄱ이나 ㅋ]다음 세 개의 모음이 들어가는
소리
인도 브라미 문자와 같은 원리임.
3) ᐃ은 세종때까지 가지고 있던 음으로 [ㅅ,s]발음 계열로 지금 영어 발음 [ ʃ]
로 예상해 봅니다.
ᐃ 안에 점이 있다면 이는 위 [코]라는 문자 처럼 [사]나 [소]음에 해당할 것이고,
ᐃ 안에 ㅡ 이 있다면 [스]이거나 [소],
ᐃ 아래 ㅣ 이 있다면 [시],
ᐃ 아래 약간 휘운 ㅣ 이 있다면, [수]
만약 제 가설이 맞다면
제 짐작대로 신석기 시대에 한글을 만든 후 단군조선 시대에 어느 정도 사용되다가
첨수도 위에 본격 적용해서 유통시키신 것입니다.
4) 한(韓)이란 문자에서 [ㅎ]음가를 만들어 [허] 정도 소리이고
아래에 ㅣ 이 있다면, [히]나 [후]가 됩니다.
혹은 [해]를 소리 문자로 적어 보신 듯 합니다.
5) ㅇ 음을 살펴봅니다.
[어], [아], [아]음 중의 하나이거나 [우][이], [요]
6)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모습으로 보입니다.
[새]이고, "흐" 도전의 "새"로 발전 됩니다.
7) [닭]인데, "흐" 도전의 "닭"으로 발전 됩니다.
8) 아들이란 문자를 적어 보신 듯 합니다.
'첨수도 화폐문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첨수도와 브라미 문자 (0) | 2010.01.14 |
---|---|
첨수도 [애]음가 (0) | 2010.01.13 |
첨수도-코 (0) | 2010.01.03 |
1. 첨수도 연구-팔 (0) | 2009.08.19 |
첨수도의 쇠 金 와 소 牛 (0) | 2009.05.30 |